•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전갱이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Temminck & Schlegel, 1844)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ctinopteri조기강 > Perciformes농어목 > Carangidae전갱이과 > Trachurus전갱이속 >
  • 종설명(Description)

    •   머리와 체형은 약간 측편하며, 체고는 낮은편이다. 주둥이는 앞쪽을 향해 있으며, 위턱의 끝은 눈의 중앙부에 닿지 않는다. 등지느러미는 몸의 1/3부분, 가슴지느러미 기부의 뒤쪽에서 시작되며 3번째 극조가 가장 길다. 극조부와 연조부가 분리되어있으며, 연조부의 끝은 미병부의 시작지점에서 끝난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부의 약간 뒤쪽에서 시작되며 뒷지느러미는 항문 바로 뒤에서 시작된다. 꼬리지느러미는 상엽, 하엽이 있는 양엽형이며, 가운데가 깊게 만입되어있다. 측선비늘은 모비늘로 구성되어있으며, 몸의 1/2위치에서 중 중앙쪽으로 깊게 꺾인다. 토막지느러미가 없다. 살아있을 때 몸의 등쪽은 청회색, 암청색을 띄며, 배쪽은 모두 은빛을 띈다. 꼬리지느러미는 황갈색을 띄며 가장자리에 검정색의 색이 나타난다.

    •   수심 0-275m 이내에서 무리를 지어 서식하며, 최대 크기는 50cm로 알려져있다. 플랑크톤을 주로 섭이하며, 현재 IUCN 적색목록에서 NC(준위협종)등급으로 자원량이 감소하고있는 추세이다.

    •   우리나라 전 연안

    •   중국, 홍콩, 일본, 북한, 대만, 베트남

    • 참고문헌

      [1]. Fricke, R., Eschmeyer, W. N. & Van Der Laan, R. (eds.).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Genera, species, references.

      [2]. Kim, J. K., et al. "Distribution map of sea fishes in Korean peninsula." Sejong, Korea: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9).

      [3]. IUCN 2023.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22-2.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122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322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전통지식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8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울릉도 해역의 정치성 구획어업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 본 연구는 울릉도 수산자원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서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용 어구인 삼각망은 울릉도 해역의 환경, 운영 및 관리 비용, 소형 어선 및 인력이 운영할 수 있는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삼각망을 이용하여 11회 어획 조사한 결과, 총 개체수는 2,735개체, 중량은 983.4 kg으로 계측되었으며, 우점종은 참돔, 방어, 넙치, 한치, 전갱이, 쥐치류 등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유용 수산자원은 어류의 경우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볼락(S. inermis), 개볼락(S. pachycephalus), 쑤기미(Inimicus japonicus),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농어목 어류 붉바리(Epinephelus akaara), 참돔(Pagrus major) 그리고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로 분류되었으며, 두족류인 한치(Uroteuthis chinensis)의 어획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울릉도의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살오징어의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경우, 삼각망과 같은 소형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은 어민 수입 창출의 대체 수단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윤성진 한국해양생명과학회 상세보기
        거문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달고기($Zeus$ $faber$)의 식성 거문도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달고기($Zeus$ $faber$) 462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달고기의 표준체장(SL)은 7.8~40.2 cm 범위였다. 달고기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달고기는 갈치 ($Trichiurus$ $lepturus$),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노랑벤자리($Callanthias$ $japonicu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와 같은 어류(Pisces)를 주로 섭식하는 어식성어류였으며, 어류 중에서 갈치를 가장 선호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두족류 (Cephalopoda), 새우류 (Macrura), 난바다곤쟁이류 (Euphausiacea)를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체장 15 cm 이하의 개체에서는 어류와 두족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두족류의 비율은 체장 증가에 따라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15 cm 이상의 개체에서는 위내용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안영수,박주면,예상진,정재묵,백근욱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제주 인근해역에 서식하는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Temminck et Schlegel)의 연령과 성장 The age and growth of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caught by large purse seine fishery were studied during August 2004 and May 2005. Otoliths of 472 fish were observed under reflected light, and translucent zones made on the post-rostrum axis were regarded as annual marks. Monthly changes in the marginal index indicated that the translucent zone was formed once a year, mainly in March-April, which was coincident with the peak spawning time of jack mackerel. The estimated ages were 0-6 years, corresponding to a fork length (FL) range of 13 to 38 cm. Most obtained individuals were 2-year-old fish, followed by 1-year-old fish. The mean fork length at age from otolith reading (sex combined) was applied to the von Bertalanffy equation and growth parameters were estimated: L = 38.29 cm FL, k = 0.31 years?1, t0 = ?0.81 years. 이동진,강수경,정경미,차형기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전갱이과(Carangidae) 어류 1미기록종, Pseudocaranx dentex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Pseudocaranx dentex 1개체가 2014년 7월 14일 제주도 성산해역의 정치망에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체측에 1개의 노랑줄무늬가 있는 점, 양턱에는 송곳니가 일렬로 줄지어 있는 점, 주새개골 위부분에는 1개의 선명한 검은색 반점을 가지는 점 그리고 주둥이는 눈지름보다 길게 돌출되는 점이 특징이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종명은 각각 '흑점줄전갱이속'과 '흑점줄전갱이'로 제안한다. Kim, Maeng Jin,Song, Choon Bok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상세보기
        과학잠수관찰을 통한 우리나라 부산, 울산 연안의 어류상 우리나라 남해동부해역인 부산(청사포), 울산(방어진) 연안에서 과학잠수조사를 통해 월별, 계절별, 정점별 어류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수중에서 어종별 생태학적인 특징을 관찰하기 위해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매월 1회씩 총 1년 동안 부산(청사포)과 울산(방어진) 연안에서 잠수관찰 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사포에서는 총 25종 1,486개체, 방어진에서는 총 31종 3,859개체가 확인되었다. 개체수에서 우점한 종은 청사포에서 전갱이(20.9%), 놀래기(12.6%), 자리돔(11.9%) 순이었고, 방어진 연안에서는 독가시치(42.0%), 주걱치(8.4%), 자리돔(8.0%) 순이었다. 청사포와 방어진 두 해역별 종 구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봄 vs. 여름, 봄 vs. 가을, 여름 vs. 겨울, 가을 vs. 겨울은 차이가 있었다. 계절별 종 조성 차이에 기여한 종은 놀래기와 용치놀래기가 기여율이 높았다. 청사포와 방어진 연안에서 관찰된 총 38종 중 17종(44.7%)이 온대성, 7종(18.4%)이 아열대성, 14종(36.8%)이 열대성 어종이었다. 이용득,이강민,곽우석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7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어간장 제조방법 1020080025027 문순천 원문정보
        등푸른 생선과 명란을 함유하는 수산가공식품의 제조방법 1020100025636 대경에프앤비 주식회사 원문정보
        해조간장용 조미액의 제조방법 1020080134022 문순천 원문정보
        다기능성 고층어초 102005002114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전갱이 및 매실을 이용한 젓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젓갈 1020080019413 울진군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국명지역주용도구전 전통지식
        Trachurus japonicus 전갱이 경상남도 식용,어로용 가까운 바다에서 아지(전갱이)를 잡아서 젓갈을 담그고, 김장김치에 넣는다.
        바다에서 잡은 메가리(전갱이)는 옆구리에 가시가 있는데, 젓갈을 주로 담그고 찌개도 끓여 먹는다.
        계절과 관계없이 전갱이를 식해로 만들어 먹곤 하는데, 한 때 명절용으로 만들곤 했으며, 전갱이 새끼를 여름에는 2~3일, 겨울에는 일주일 정도 삭혀서 먹는다.
        전갱이 새끼는 물회로 만들어 먹고, 여름에 잡은 것은 구워서 먹는다.
        봄에 잡은 전갱이를 미역국에 끓여 먹으면 산모 보양식으로 좋다.
        전갱이 새끼를 게나 갯장어 잡는 미끼로 사용한다.
    • 자원정보

      검색바

      총 720건, 1/144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002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대한민국 2011-05-28
      MABIK PI000000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대한민국 2011-05-28
      MABIK PI0000011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대한민국 2011-05-04
      MABIK PI0000011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대한민국 2011-05-25
      MABIK PI0000011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대한민국 2011-05-19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