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해양수산생명자원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등급제를 도입하였으며, 안전성·유용성·공급성을 평가하여 활용이 높고 잠재적 가능성이 높은 종의 원천 소재를 확보·관리하고자 합니다.
우리기관에서는 해양수산생명자원의 경제적·생태적·학술적 가치를 평가하여 1-3등급의 등급을 부여합니다. 등급기준은 『해양수산생명자원의 등급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한 고시』 별표 1에 고시되어 있습니다. 등급기준은 전문가 약 70여명이 참여하여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국외반출 승인대상 해양수산생명자원은 1-2등급을 대상으로 선정합니다.
평가항목 | 평가 등급의 정의 | ||
---|---|---|---|
1등급 | 2등급 | 3등급 | |
안전성 | 국가기관에 원료(식품, 의약품 등)로 등록된 종 | 문헌, 전통지식 등에서 안전성이 확인된 종 | 국가기관에 원료(식품, 의약품 등)로 등록되지 않고, 문헌, 전통지식 등에서도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종 |
유용성 | 논문, 특허 등에 효능 및 유용성이 등록되어 있고 상품화된 종 또는 해양바이오뱅크에 등록되어 있는 효능 A등급 종 | 논문, 특허 등에 효능 및 유용성이 등록되어 있는 종 또는 해양바이오뱅크에 등록되어 있는 효능 B등급 중 | 논문, 특허 등에 효능 및 유용성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종 또는 해양바이오뱅크에 등록되어 있는 효능 C등급 종 |
공급성 | 중·양식 및 배양이 가능한 자원 | 서식지 및 군락지의 개체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종 | 환경에 영향을 받아 개체량의 변동이 큰 종 |
『해양수산생명자원의 확보·관리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10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6조
『해양수산생명자원의 확보·관리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
『해양수산생명자원의 등급부여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한 고시』
총 2498건, 78/250 페이지
국명/학명 | 지정년도 | 경제적가치 | 생태적가치 | 학술적가치 | 최종등급 |
---|---|---|---|---|---|
Bergquistia textura / 그물버퀴스트해면 | 2022 | 2 | 1 | 1 | 1 |
Nibea albiflora / 수조기 | 2022 | 1 | 2 | 1 | 1 |
Oplegnathus punctatus / 강담돔 | 2022 | 2 | 1 | 1 | 1 |
Enoplolambrus laciniatus / 긴다리자게 | 2022 | 3 | 1 | 2 | 1 |
Scomber japonicus / 고등어 | 2022 | 1 | 1 | 2 | 1 |
Corethron pennatum / 국명미정 | 2022 | 3 | 2 | 3 | 2 |
Plicifusus rhyssus / 어깨방추물레고둥 | 2022 | 2 | 2 | 2 | 2 |
Ornithocercus thumii / 국명미정 | 2022 | 3 | 2 | 3 | 2 |
Tripos teres / 국명미정 | 2022 | 3 | 3 | 2 | 2 |
Penicillium nordicum / 국명미정 | 2022 | 2 | 3 | 2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