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지난 10여 년간 수행된 세계 해양생물센서스 (Census of Marine Life)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의 해양생물 다양성은 세계 최고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는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보전하고, 우리나라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적 권리를 확보하여 자원 부국의 초석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해양생물의 유용성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니 해양바이오 분야 연구자는 물론 산업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국민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총 98건, 5/10 페이지
별불가사리Patiria pectinifera
돌기해삼Apostichopus japonicus
개불Urechis unicinctus
지중해담치Mytilus galloprovincialis
홍합Mytilus unguiculatus
피조개Anadara broughtonii
참갑오징어Sepia esculenta
국명미정Bullacta exarata
둥근전복Haliotis discus
피뿔고둥Rapana venosa
구전전통지식
평소 은신처를 찾아 자기 몸이 쏙 들어갈만한 틈에 숨어 살며 그 속에 알을 낳는 쭈꾸미의 습성을 이용한 채집도구이다. 주로 펄이 많은 곳에서는 피조개, 자갈이 많은 곳에서는 피뿔고둥의 껍데기를 사용한다.
구전전통지식
전통적인 방법으로 물고기를 가두어 잡는 어구. 길이 60cm의 대쪽을 위는 지름 20cm 정도로 좁게, 아래는 지금 35cm 정도로 넓게 벌려서 밑이 없이 통발과 비슷하게 만든다.
구전전통지식
암초주변의 굴처럼 패인 곳이나 그늘진 곳에 숨어사는 문어의 습성을 이용하여 긴 줄에 여러 개의 작은 항아리를 달아 바닥으로 내려 그 속에 숨어 들어온 문어를 잡는 도구이다. 현재는 플라스틱 단지를 만들어 사용한다.
구전전통지식
재래식 잠수인, '머구리'의 신발. 밑창이 무거운 쇠붙이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