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9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여수 제도 연안에서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In 2012, fishes caught by three-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Jedo were assessed for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fluctuation in their abundance. The fish were caught at two research stations (St.) and were found to comprise 53 species, 39 families, and 9 orders. The dominant species were Takifugu niphobles, Lateolabrax maculatus, and Acanthopagrus schlegelii. To gain a measure of their biodiversity, all the species were assessed for their number, richnes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ce. The highest and lowest number of total caught fish individuals was recorded in summer and winter, respectively. The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winter.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spring. The richness index was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winter. Furthermore,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spring and lowest in autumn. 유태식,임인현,이성훈,한승조,한경호 (사)한국해양바이오학회 상세보기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유어의 식성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감성돔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감성돔(1~7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갯지렁이류, 히드라류, 주걱벌레붙이류, 요각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감성돔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정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감성돔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중가하면서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허성회,곽석남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염분 및 사육수 조건에 따른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의 생존율 해산어류의 담수순화에 관한 연구는 일부 광염성 어종에 대해 수행되어 왔으나,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담수순화에 관한 연구는 아가미 구조적 연구, 내분비학적 연구 등이 연어과 어류의 회유시에 밝혀진 바 있다(Chen and Lin., 1994). 다른 해산어류의 삼투압조절 등 생리학적 연구는 숭어의 담수사육에 관한 기초연구 결과가 보고(장과 허, 1999)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삼투압조절 능력 등이 실제 산업에 이용되려면 각각의 양식유용종에 대한 상세한 연구와 각 어종의 염분 내성, 삼투압조절 능력, 염분변화에 따른 생존 및 성장 그리고 삼투압조절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리적, 화학적, 생리학적 연구 등이 필요하다. (중략) 민병화,허준욱,장영진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4종 돔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비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감성돔(A. schlegeli), 참돔(P. major), 돌돔(O. fasciatus) 및 벵에돔(G. punctata)에 대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체 위암세포(AGS)와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4종의 돔 A+M 및 MeOH 추출물들을 AGS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A+M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5 mg/ml에서 참돔(P. major)과 감성돔(A. schlegeli) 추출물은 80% 이상의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벵에돔(G. punctata)이 70%, 돌돔(O. fasciatus)이 53%의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MeOH 추출물의 경우 참돔(P. major)과 돌돔(O. fasciatus) 추출물이 약 80% 이상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났으며, 이어서 감성돔(A. schlegeli)과 벵에돔(G. punctata) 추출물이 약 70% 정도의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4종의 돔의 HT-29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는 AGS 암세포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 효과는 다소 낮았다. 참돔(P. major), 감성돔(A. schlegeli), 돌돔(O. fasciitis) 및 벵에돔(G. punctata)의 A+M 추출물의 $IC_{50}$ 값은 각각 3.35, 6.16, 6.17 및 4.47 mg/ml이었고 MeOH 추출물의 경우$IC_{50}$ 값은 각각 3.61, 5.52, 2.07, 및 6.06 m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4종 돔 중에서 참돔(P. major) 추출물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아 참돔(P. major) 추출물을 용매 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얻어진 n-hexane, 85% aq.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에 의한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 본 결과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AGS 및 HT-29암세포에 대한$IC_{50}$ 값은 각각 0.33 및 1.58 m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돔(P. major)의 85% aq. MeOH 분획물은 AGS 및 HT-29 세포 모두에서 가장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보여 85% aq. MeOH 분획물에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향후 참돔의 다양한 생리활성 규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황성연,임선영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DNA Barcode를 이용한 수산가공품 원재료 진위판별 본 연구에서는 DNA barcode 시험법을 이용하여 시중 유통 중인 도미와 옥돔 수산가공식품의 위변조현황을 분석하였다. 참돔 12건, 돌돔 4건, 황돔 7건, 감성돔 2건, 나일틸라피아 7건, 옥돔 6건, 옥두어 8건 총 46건의 시료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물 종 판별에 주로 이용되는 mitochondrial DNA의 COX I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유전자 영역을 분석하여 원재료의 종을 판정하였다. NCBI에서 제공하는 BLAST Searc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된 염기서열과 NCBI에 등록된 각각 어류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염기서열 상동성(identity)이 97% 이상인 종을 원재료 종으로 판별하였다. DNA barcode 시험법을 이용해 시중 유통되는 참돔, 돌돔, 황돔, 감성돔, 나일틸라피아, 옥돔, 옥두 수산가공품 46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위변조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시장에서 통용되는 일반명칭과 식품공전에 기술된 표준명칭이 상이하여 소비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수산물 가공식품 표기에 일반명칭과 더불어 표준명칭 또는 학명을 같이 기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박은지,강주영,이한철,박민지,양지영,신지영,김군도,김종오,서용배,김중범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3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식용곤충 및 폐어패류를 활용한 기능성 과립형 반려견 사료 및 그 제조방법 1020180066191 조종철 원문정보 참돔과 감성돔의 교잡종 및 그 교잡종 생산방법 1020110005259 이영국 원문정보 다기능성 고층어초 102005002114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