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칼상어Acipenser dabryanus Duméril, 1869
5~6월의 산란기에 하천으로 이동하여 45만 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저서 무척추동물을 주로 섭식하며 일부 어류의 어린 개체를 섭식하기도 한다. 수컷은 성 성숙까지는 4~6년, 암컷은 7~8년 걸린다.
[1]
머리 전체가 융합되어 있고 뼈대 대부분이 연골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 뒤끝에서 등지느러미 바닥 시작점 앞 사이의 인판줄은 1줄이며 다소 큰 가시가 있는 몸통에 5개의 몸통 인판띠가 있다. 머리 등쪽은 갈회색, 머리 옆쪽은 회갈색, 머리 배쪽은 백황색이다. 머리 전체는 여러 개의 골판으로 융합되어 있다. 입은 머리 아래쪽에 자리하며 입의 앞부분에 4개의 긴 촉수가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몸통 중앙보다 아래쪽에 자리하며 가슴지느러미 앞쪽은 배쪽을 향하고 있다. 등지느러미 바닥 시작점은 배지느러미 바닥 뒤끝보다 뒤쪽에 자리하고 뒷지느러미 바닥 시작점보다 앞에 자리한다. 꼬리지느러미는 부정형으로 위-엽은 아래-엽보다 크다. 몸통의 인판을 제외한 피부는 가죽과 같이 매끄럽고 윤택이 난다.
[2]
중국
[2]
대동강, 압록강, 한강
[2]
본 종은 IUCN Red List에 포함되며, Critically Endangered level에 포함되는 국제보호대상종이다. (CITES, 2017)
출처
[1]. 윤창호, 심재환, 김진재 공저, 2021. 한국의 어류, 학술정보센터, 161-162 pp.
https://fbp.nnibr.re.kr/portal/search/res/read_ktsn.do?ktsn=120000057393
[2]. 윤창호, 심재환, 김진재 공저, 2021. 한국의 어류, 학술정보센터, 161-162 pp.
[3]. 윤창호, 심재환, 김진재 공저, 2021. 한국의 어류, 학술정보센터, 161-162 pp.
https://fbp.nnibr.re.kr/portal/search/res/read_ktsn.do?ktsn=120000057393
[4]. 윤창호, 심재환, 김진재 공저, 2021. 한국의 어류, 학술정보센터, 161-162 pp.
NCBI (Acipenser dabryan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