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갈고리분홍잎Acrosorium ciliolatum (Harvey) Kylin, 1924
바다에 사는 홍조식물이다. 엽체는 길이 5-10cm, 막상이고, 밝은 갈색이다. 가지는 불규칙하게 호생하고, 폭 3-5mm, 주로 말단부에 갈고리 부분을 갖는다. 가지 연변부는 전연이거나 다소 돌기를 갖고, 작은 돌기, 흡착반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 가근이 있고, 현미경으로 보이는 세맥이 있다. 사분포자낭은 연변부의 작은 가지에 원형, 난형의 사분포자낭반 안에 있다. 조간대와 조하대 암반에서 연중 생육한다. 동해안과 남해안 전역에 자라며, 세계적으로 호주, 북미, 유럽 전역, 아시아 전역, 인도양 남부에 분포한다.
조하대 암반 또는 다른 해조류에 부착하여 서식한다. 따뜻한 해역에서 관찰된다.
[1]
엽체는 길이 5-10cm, 막상이고, 밝은 갈색이며, 가지는 불규칙하게 호생하고, 폭 3-5mm, 주로 말단부에 갈고리 부분을 갖는다. 가지 연변부는 전연이거나 다소 돌기를 갖고, 작은 돌기, 흡착반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 가근이 있고, 현미경적 세맥이 있으며, 사분포자낭은 연변부의 작은 가지에 원형, 난형의 사분포자낭반 안에 있다.
조간대, 조하대 암반
호주, 북미, 유럽 지역, 아시아 전역, 인도양 남부
동해안, 남해안 전역
특별한 용도가 알려진 바 없음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참고문헌
1. 강제원. 1968. 한국식물도감. 제8권 식물편(해조류). 문교부. 서울. 465 pp.
2. 남기완, 강필준. 2012. 한국의 조류(Algae). 제4권 7호, 해산 홍조류.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130 pp.
3. Harvey, W. H. 1855. Some account of the marine botany of the colony of western Australia. Transactions of the Royal Irish Academy 22: 525-566.
4. Kylin, H. 1924. Studien über die Delesseriaceen. Acta Universitatis Lundensis 20(6): 1-111, 80 figs.
5. Zanardini, G. 1866. Scelta di Ficee nuove o più rare dei mari Mediterraneo ed Adriatico. [Decade VII]. Memorie del Reale Istituto Veneto di Scienze, Lettere ed Arti 13: [141]-176.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1 | 2 | 3 | 2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2 | 2 | 3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1 | 2 | 2 |
NCBI (Acrosorium ciliolatum)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