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딱총새우

딱총새우Alpheus brevicristatus De Haan, 1844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Decapoda십각목 > Pleocyemata범배아목 > Caridea생이하목 > Alpheidae딱총새우과 > Alpheus딱총새우속 > Alpheus brevicristatus딱총새우 >
  • 종설명(Description)

    •   형태적으로 갑각은 매끈하고 가시를 가지지 않는다. 이마뿔은 매우 짧고 뾰족하며 비스듬하게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갑각의 앞쪽 옆 가장자리는 둥그스름하며 눈은 완전히 갑각으로 덮여 있다. 배마디의 등쪽은 둥그스름하다. 첫번째 가슴다리는 집게를 갖으며 좌우의 것이 서로 크기가 다르며 얇은 털로 덮여 있다. 큰 것의 집게발은 길이가 너비의 약 3배이다. 집게발의 손바닥은 가동지의 1.2배 정도 크기이다. 첫번째 가슴다리 가동지의 길이는 손바닥 길이의 3배 정도이며, 가동지와 부동지가 닫히면 렌즈형태로 넓은틈이 생긴다. 체색은 갈색과 녹색이 어우러져 있다. 딱총새우류 중 크기가 큰 종으로 길이는 약 50mm 정도이다. 생태적으로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의 갯벌 해안에서 서식하는 종이다. 모래가 섞인 갯벌 지대의 조간대나 얕은 수심, 특히 잘피류 군락에서 더 흔히 발견된다.

    •   갑각은 매끈하고 이마뿔은 매우 짧다. 눈은 완전히 갑각에 덮여 있다. 큰 집게다리는 길이가 나비의 3배 정도이고, 솜털이 나 있다. 작은 집게다리의 손바닥의 길이는 나비의 3배보다 길고, 가동지는 손바닥 길이보다 훨씬 길다. (Kim, 1977 편집 인용)
      [1]

    •   일본

    •   전남, 전북, 충남, 경기
      [2]

    •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2].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 [3].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4].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 참고문헌

      De Haan, W. (1833-1850). Crustacea. In: von Siebold, P.F., Fauna Japonica sive Descriptio Animalium, quae in Itinere per Japoniam, Jussu et Auspiciis Superiorum, qui Summum in India Batava Imperium Tenent, Suspecto, Annis 1823-1830 Collegit, Notis, Observationibus et Adumbrationibus Illustravit. i-xxxi, ix-xvi, 1-24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거문도 주변 새우조망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전라남도 여수시의 거문도,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에서 1998년 1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12회 걸쳐 새우조망에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의 수심은 20∼80m이고, 이 해역의 저층 수온의 연중범위는 8.3∼21.3$^{circ}C$이며, 저질은 니질대 또는 사니질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류는 총 11과 26속 37종 702,681개체가 출현하고 우점종은 그라비새우 48.52%, 긴줄꼬마도화새우 21.83%, 민새우 11.25%, 대롱수염새우 7.24%로 나타났다. 꽃새우, 민새우, 그라비새우는 15개 전 정점에서 골고루 출현하였으며, 대롱수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긴줄꼬마도화새우는 거문도 주변해역(C구역)에서 출현하였으며, 중하, 긴발딱총새우는 초도, 손죽도 주변해역(A, B구역)에서만 출현하였다. 군집구조를 나타내는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우점도지수는 정점 13에서 0.73과 0.61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정점 4에서 0.14, 0.11로 가장 낮은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정점별 군집의 유사도에 의하면 같은 수역인 정점 1, 7에서 0.673으로 가장 유사하고, 유사도 0.25 수준에서 거문도수역 집단(정점 10, 11)과 초도, 손죽도수역집단(정점 1∼9)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택윤,김주일,고정락,차형기,이주희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96건, 1/20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06019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딱총새우
      Alpheus brevicristat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건입동 동부방파제 2012-01-17
      MABIK CR0018950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딱총새우
      Alpheus brevicristatus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 2012-06-22
      MABIK CR001895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딱총새우
      Alpheus brevicristatus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 2012-06-22
      MABIK CR0018950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딱총새우
      Alpheus brevicristatus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 2012-06-22
      MABIK CR0018950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딱총새우
      Alpheus brevicristatus
      대한민국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 2012-06-22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