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 제주 연안 저서생물(해조류,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가 저서 기질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신흥해역에서 2015년 2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조사되었다. 암반정점에서는 해조류 57종과 무척추동물 102종이 출현하였고, 몽돌정점에서는 해조류 42종과 무척추동물 67종이 관찰되어 암반기질에서 저서생물의 출현종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류의 연평균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1,601.13g;wet;wt./m^2$ 으로 몽돌정점의$448.85g;wet;wt./m^2$ 보다 약 4배 높았다. 감태는 암반정점에서 전체 생물량의 62.64% ($1,002.93g/m^2$ )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고, 몽돌정점에서는 넓은게발, 감태, 붉은뼈까막살, 자루바다표고, 갈래곰보가 우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및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각각$106.9indivi./m^2$ ,$871.93g/m^2$ 이며, 몽돌정점에서는$64.6indivi./m^2$ ,$984.28g/m^2$ 로 나타났다. 무척추동물의 생물량 우점종을 파악한 결과, 암반정점에서는 소라(36.40%), 바퀴고둥(19.18%), 보라성게(13.61%)였고, 몽돌정점에서는 거품돌산호(54.13%)와 그물코돌산호(24.28%)로 기질에 따른 우점종의 차이를 확인하였다.김보연,고준철,최한길 한국환경생태학회 상세보기 거품돌산호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Alveopora japonica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by measuring the levels of cell viability, mRNA expressi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the B16F10 cell line. The effects of A. japonica extract on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TYRP2, tyrosinase (TYR),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expression levels and melanin content were determined. Quantitative real-time RT-PCR show that A. japonica extract decrease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YRP1, TYRP2, TYR, and MITF in B16F10 cell line, resulting in lower levels of melanin production compared to α-MSH-treated B16F10 cells. Tyrosinase activity assays reveal that A. japonica extract decrease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whitening effects of A. japonica extract on B16F10 cells; thus, A. japonica extract is a potent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mechanism of action of A. japonica extract. Such research will benefit not only cosmetics, but also the health food and medical industries. 심중현 한국생약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산성화된 해수 노출에 대응하는 거품돌산호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해양 환경변화 진단키트 102017001207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