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거품돌산호

거품돌산호Alveopora japonica Eguchi, 1968

  • CITES Ⅱ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nidaria자포동물문 > Anthozoa산호충강 > Scleractinia돌산호목 > Poritidae구멍돌산호과 > Alveopora거품돌산호속 >
  • 종설명(Description)

    •   산호체는 부착형, 군체형이고, 계란형, 반구형 또는 둥근 덩어리모양 또는 피복형이다. 촉수 외 출아하고, 산호협들이 단면으로 분포하며, 산호협간 다공성의 망상형 협벽으로 직접 연결되어 군체를 형성하는 세리오이드형(cerioid)이다. 군체 크기는 너비 25~65 mm, 높이 25~45 mm이며, 크기는 다양하다. 산호협은 다공성, 망상형이다. 산호협의 악부는 다각형이고, 직경 1.2~7.0 mm, 보통 2.5~5.0 mm이다. 격벽은 다수의 침상형 격벽이 열을 지어 수직으로 발달하고, 보통 6방사형 2환열 (드물게 3환열) 이내로 배열하며, 2차 격벽은 흔적적이다. 격벽 구조, 배열, 크기는 불규칙하다. 축주가 없거나, 또는 격벽 내측 가장자리 하부가 융합한 형태로 발달한다.

    •   체부는 녹색, 녹갈색이며, 12개의 긴 촉수 끝에는 백색 반점이 있고, 골격은 백색이다. 조류와 공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수심 10~30 m의 암반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   제주도, (남해)

    •   일본

    • 참고문헌

      [1] Eguchi M. 1965. Scleractinia. In: Okada K, Uchida S, Uchida T eds. New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Fauna of Japan. 1: 270-296, figs. 353-452. Hokuryu-kan, Tokyo.
      [2] Song JI. 198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Anthozoa. 7. Scleractinia (Hexacorallia). Korean J. Zool., 25(3): 131-148.
      [3] 송준임. 2004. 한국동식물도감: 제39권, 동물편(산호충류). 서울: 대한교과서.

      • [담당자]국립해양생물자원관 : 문혜원 전임연구원(041-950-0837, hwmoon@mabik.re.kr, 2022.12.29)
      • [자료 수정 날짜]2022-12-29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 제주 연안 저서생물(해조류,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가 저서 기질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신흥해역에서 2015년 2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조사되었다. 암반정점에서는 해조류 57종과 무척추동물 102종이 출현하였고, 몽돌정점에서는 해조류 42종과 무척추동물 67종이 관찰되어 암반기질에서 저서생물의 출현종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류의 연평균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1,601.13g;wet;wt./m^2$으로 몽돌정점의 $448.85g;wet;wt./m^2$보다 약 4배 높았다. 감태는 암반정점에서 전체 생물량의 62.64% ($1,002.93g/m^2$)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고, 몽돌정점에서는 넓은게발, 감태, 붉은뼈까막살, 자루바다표고, 갈래곰보가 우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및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각각 $106.9indivi./m^2$, $871.93g/m^2$이며, 몽돌정점에서는 $64.6indivi./m^2$, $984.28g/m^2$로 나타났다. 무척추동물의 생물량 우점종을 파악한 결과, 암반정점에서는 소라(36.40%), 바퀴고둥(19.18%), 보라성게(13.61%)였고, 몽돌정점에서는 거품돌산호(54.13%)와 그물코돌산호(24.28%)로 기질에 따른 우점종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김보연,고준철,최한길 한국환경생태학회 상세보기
        거품돌산호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Alveopora japonica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by measuring the levels of cell viability, mRNA expressi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the B16F10 cell line. The effects of A. japonica extract on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TYRP2, tyrosinase (TYR),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expression levels and melanin content were determined. Quantitative real-time RT-PCR show that A. japonica extract decrease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YRP1, TYRP2, TYR, and MITF in B16F10 cell line, resulting in lower levels of melanin production compared to α-MSH-treated B16F10 cells. Tyrosinase activity assays reveal that A. japonica extract decrease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whitening effects of A. japonica extract on B16F10 cells; thus, A. japonica extract is a potent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mechanism of action of A. japonica extract. Such research will benefit not only cosmetics, but also the health food and medical industries. 심중현 한국생약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산성화된 해수 노출에 대응하는 거품돌산호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해양 환경변화 진단키트 102017001207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40건, 1/8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N0007427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거품돌산호
      Alveopora japonica
      대한민국 2013-09-27
      MABIK CN0007427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거품돌산호
      Alveopora japonica
      대한민국 2013-09-27
      MABIK CN0007427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거품돌산호
      Alveopora japonica
      대한민국 2013-09-27
      MABIK CN0007427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거품돌산호
      Alveopora japonica
      대한민국 2013-09-27
      MABIK CN0007427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거품돌산호
      Alveopora japonica
      대한민국 2013-09-2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