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도화망둑

도화망둑Amblychaeturichthys hexanema (Bleeker, 1853)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Perciformes농어목 > Gobiidae망둑어과 > Amblychaeturichthys >
  • 종설명(Description)

    •   도화망둑은 농어목, 망둑어과의 일종으로 몸은 긴 편으로 측편하며, 두 눈 사이는 좁다. 양 턱은 거의 같은 길이이며, 아래턱에는 3쌍의 수염이 있다. 양 턱에는 몇 줄의 이빨이 있으며, 바깥쪽 이빨이 안쪽보다 크다. 좌, 우의 배지느러미는 합쳐져 흡반을 형성한다. 비늘은 얇은 둥근비늘로 몸체와 뺨 및 아가미뚜껑은 비늘로 덮여 있으나 옆줄은 없다. 꼬리지느러미에는 흑색 세로띠가 없으며, 뒷부분은 뾰족하다. 산란기는 2∼5월로서 전장 9cm정도 되면 산란에 참가하고, 다른 망둑어류와는 달리 산란실을 만들지 않고 해저의 모래나 펄 위에 직접 알을 낳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에 따라 성장이 달라지나 보통 부화 후 만 1년이면 전장 13.5cm로 대부분 성어가 되고 2년이면 15.5cm로 자란다. 전장 17cm, 수명은 약 3년으로 추정된다. 작은 새우류를 주로 먹으며, 그 다음 작은 어류, 갯지렁이류, 젓새우류, 갯가재류 등도 포식 한다.

    •   일본 북해도 이남, 중국연안에 분포한다.

    •   우리나라 전 연안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남해 여수 동부연안 각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월별 출현 양상 전라남도 여수 동부연안에서 2020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월별로 3개의 정점에서 이각망을 이용하여 어획되는 어류의 군집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7목 28과 43종 4,539개체로 그중 숭어(Mugil cephalus)가 654개체 (14.4%)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전어(Konosirus punctatus)가 497개체 (10.9%), 농어 (Lateolabrax japonicus)가 377개체 (8.3%),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이 360개체 (7.9%), 보구치 (Pennahia argentata)가 326개체 (7.2%)를 차지하였다. 군집구조에서 월별 종다양도지수는 2.075~2.888로 8월에 가장 높았고, 1월에 가장 낮았으며, 우점도지수는 0.178~0.524로 3월에 가장 높았고, 12월에 가장 낮았다. 계층 군집분석(HCA) 결과, 조사시기별 어류 군집은 Bray-Curtis 유사도에 따라 총 3개의 그룹으로 나타났다. Group 1은 6월에서 10월로 전어(Konosirus punctatus), 병어(Pampus punctatissimus),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등이 주로 채집되어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였고, Group 2는 11월부터 2월로 겨울철 산란종인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 청어 (Clupea pallasii),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등이 속해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였다. Group 3은 3월에서 5월로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도화망둑(Amblychaeturichthys hexanema), 볼락 (Sebastes inermis) 등이 속해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였다. 이 연구가 진행된 여수 동부연안은 경제성이 높은 어종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산자원들이 출현하는 것을 보아 수산자원의 서식에 적합한 해역이며, 많은 어종들의 산란 및 성육장으로써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차상훈,유태식,한경호,이성훈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24건, 1/4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003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2011-05-28
      MABIK PI0000019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대한민국 충청남도 홍성군 2011-05-05
      MABIK PI0000021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 2011-05-09
      MABIK PI000002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1-04-27
      MABIK PI0000026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1-04-2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