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새꼬막

새꼬막Anadara kagoshimensis (Tokunaga, 1906)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Bivalvia이매패강 > Arcida돌조개목 > Arcidae돌조개과 > Anadara피조개속 >
  • 종설명(Description)

    •   새꼬막은 이매패류, 돌조개목, 피조개속의 일종으로 패각의 길이가 75mm, 높이 55mm 정도의 중형 조개로 패각의 바탕색은 백색이고 중앙은 연한 갈색을 띠기도 한다. 방사륵은 30~34개 정도 뻗어 있으며, 배면의 늑간에 황갈색의 인편상 각피가 있다. 껍질 안쪽 면의 색상은 백색이다. 조하대 수심 10m 근방의 진흙 또는 모래진흙 바닥에 서식하며 부유물을 섭식한다. 수정 후 36시간이면 껍질이 완성되며 2주가 지나면 부착생활로 들어간다. 부착생활을 하고 있는 중에도 때때로 족사(足絲)를 스스로 절단하고 주변을 기어 다니기도 한다. 수산 식용 자원 및 신소재 재료로의 가치가 높다

    •   일본, 중국, 서태평양 연안에 분포

    •   우리나라 남해, 서해 연안

    •   고막과 비슷하나 기왓골 무늬가 가늘고 기름기가 있다. 흔히 말하길 참새가 들어가 된 것이라 한다. 표준어명은 ‘새꼬막’이다. '새꼬막’을 표기한 것으로 음가(音假)한 경우이다. 둘째 음절은 사이시옷의 영향이다.
        음식: 새꼬막전, 새꼬막장, 새꼬막회무침으로 활용한다.
        약재: 소담산결(消痰散結)에는 생용(生用)하고 제산지통(制酸止痛)에는 하용(煆用)한다 무어혈자(無瘀血者), 위산부족자(胃酸不足者)는 기(忌)한다.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1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5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추출물의 혈관신생 억제활성과 특성 Anti-angiogenesis therapy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We investigated the anti-angiogenesis activity of an extract from the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and attempted to purify the active compounds. The crude extract of the ark shell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human vein endothelial cells (HUVEC-1) and tube formation by human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HMEC-1). The methanol extract of the viscera of the ark shell showed activity. The ark shell extract acts as an angiogenesis inhibitor and could be developed further as a health substance, functional food, and anticancer agent. 임치원,박희연,심길보,윤나영,김연계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보성 연안해역에서 꼬막과 새꼬막 부유유생 출현의 변화 이매패류의 부유유생은 성패(양식자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유유생의 출현시기 및 출현량에 관한 연구는 자연 채묘량의 증대와 인공종묘의 생산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성 연안에서 총 21종의 이매패류 부유유생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구마모토굴(M. sikamea), 왜홍합(X. atratus), 종밋(M. senhousia), 참굴(M. gigas), 가리맛 조개(S. constricta), 새꼬막(A. kagoshimensis), Kurtiella aff. bidentata 그리고 꼬막(T. granosa)이 중요 부유유생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보성 연안해역의 주요 수산자원인 새꼬막(A. kagoshimensis)과 꼬막(T. granosa)은 각각 이매패류의 0.51~12.50% (평균 4.00%), 0.01~12.50% (평균 1.92%)의 구성비율을 차지하며 다른 이매패류보다 낮은 출현량을 보였다. 꼬막(T. granosa)과 새꼬막(A. kagoshimensis)의 부유유생은 6월부터 9월까지 관찰되었으나, 각각 8월 초와 8월말에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김현정,강준수,정승원,박용주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한국산과 중국산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의 원산지 판별을 위한 SNP 마커의 개발 및 검증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과 중국산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사이의 원산지 판별을 위하여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 마커의 primer set를 개발 및 검증하였다. 총 180개의 새꼬막 sample을 genotyping by sequencing으로 분석하여 원산지 판별에 유용할 것이라 판단되는 7개의 후보 MS 마커와 15개의 후보 SNP 마커를 선정하였다. 후보 SNP 마커는 PCR과 sanger sequencing, SYBR green-based qPCR을 통해 원산지별 분리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 중 Insertion 1, SNP 21 마커가 qPCR 증폭 양상에서 집단이 확연히 분리되었으며 예상과 실제 증폭 형태가 일치하였다. 추가적으로 새꼬막을 무작위로 섞어서 진행한 blind test에서 Insertion 1은 새꼬막 100개에 대하여 74%의 정확도, 52%의 민감도, 96%의 특이도를 보였고, SNP 21은 새꼬막 137개에 대하여 86%의 정확도, 79%의 민감도, 93%의 특이도를 보였다. 따라서 개발된 두 개의 SNP 마커는 독립적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면 새꼬막 원산지 판별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성석,유승현,서용배,김종오,권익정,배소희,김군도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Computational Fluid Dynamics를 이용한 부유식 새꼬막 채묘장치의 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This study analyzed the flow inside floating seedling equipment for Scapharca subcrenata. Due to the aging society of fishing villages, it is impossible to continuously input the labor for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efficiency. Scapharca subcrenata has high per capita consumption. It serves as an important aquatic food resource. Scapharca subcrenata culture tends to be highly dependent on the natural environment. Production of Scapharca subcrenata is difficult to predict with low stability. In the past, manpower directly installed bamboo nets in mudflats. The seedling equipment devised in this study is a floating type and can be freely moved on the sea according to the prediction of Scapharca subcrenata generation. The flow around the floating seedling equipment was analyzed by numerical analysis. The physical phenomena of the flow around the net inside the floating seedling equipment were visualized. As a result, the space between the floating seedling equipment and the bottom net and the space between the net groups showed a lower flow rate than the inlet flow rate. It is expected that the low flow rate of the floating seedling equipmen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ttachment of Scapharca subcrenata. 편용범,이경훈,최환석,이인태,김형호,이창제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 어미관리 기술개발을 위한 채집 시기별 성성숙 비교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were collected at different harvest period to induce sexual maturation. The gonad index varied according to when the first entry, ranging from 1.15 in January to 1.34 in February and 1.84 in April. It was observed that the gonadal index increased as the season progressed, with higher values recorded in later months. When water temperature stimulation was used to induce sexual maturity, the time to maturity was 123 days in January, 89 days in February and 53 days in April. The accumulated water temperature was 944°C in January, 812°C in February and 780°C in April, giving a total difference in accumulated water temperature between January and April of △T = 164°C. Analysis of the gonadal tissue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female/male ratio and the frequency of immature individuals varied according to the collection season. In January the female-to-male ratio was 63.3%, in February 40.0% and in April 36.7%. Similarly, the proportion of immature individuals was 3.3% in January, 16.7% in February and 20.0% in April. A total of 600 ark shells were used for artificial seed production on June 8th. The fertilization rate was approximately 89%, and the hatching rate was 90%. In total, 3.04 billion fertilized eggs were collected, resulting in 1.1 billion hatching. The initial D-shape larvae measured 80.4 ± 3.9 μm in length and 60.6 ± 2.8 μm in width. 한종철,황인준,강정하,강희웅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2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새꼬막 유생 포착용 그물장치 1020170062289 김점호 원문정보
        수심 조절형 새꼬막 채묘틀 1020140185964 전라남도 원문정보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1020150190547 전라남도 원문정보
        해수분사에 의한 새꼬막 인공종묘의 생산 방법 1020110105321 전라남도 원문정보
        새꼬막의 유생 포착용 그물망지 1020180121997 송점종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93건, 1/59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O0000285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꼬막
      Anadara kagoshimensis
      대한민국 2010-11-23
      MABIK MO0000285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꼬막
      Anadara kagoshimensis
      대한민국 2010-11-23
      MABIK MO0000285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꼬막
      Anadara kagoshimensis
      대한민국 2010-11-23
      MABIK MO000028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꼬막
      Anadara kagoshimensis
      대한민국 2010-11-23
      MABIK MO0000285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꼬막
      Anadara kagoshimensis
      대한민국 2010-11-2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