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만두멍게

만두멍게Aplidium pliciferum (Redikorzev, 1927)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scidiacea해초강 > Aplousobranchia무관목 > Polyclinidae만두멍게과 > Aplidium만두멍게속 >
  • 종설명(Description)

    •   군체는 보통 크고 구형의 덩어리로, 만두와 모양이 비슷헤 만두멍게라고 부른다. 개충은 긴 계열로 배열하며, 1~3개의 작은 타원형의 공동배설공을 가지고 있다. 공동외피는 연한 홍색 또는 살색(肉色)을 띠고 반투명하다. 개충은 가슴과 윗배는 거의 같은 길이이며 아랫배는 아주 길다. 출수공의 설상돌기는 그 끝이 3엽으로 나누어졌다. 아가미구멍열은 13~15열이고 각 아가미구멍열에는 12~15개의 아가미구멍이 있다. 섬모구는 타원형이다. 위 표면에는 20~30개의 뚜렷한 주름이 있다. 난소는 장환에서 떨어진 뒤쪽에 있고, 작은 정낭은 2줄로 약 40~65개 있다.
      [1]

    •   일본(혼슈, 큐슈, 시코쿠)
      [1]

    •   황해, 동해, 남해, 제주해
      [1]

    • 출처

      [1]. 해양미삭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2]. 해양미삭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 참고문헌

      Rho BJ, 1977. Ascidiacea. I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Porifera, Hydrozoa and Ascidiacea). Vol. 20 (Ed., Ministry of Education). Samhwa Publishing Co.,
      Seoul, pp. 303-304.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121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만두멍게와 분홍멍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otential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by examining the antioxidant effects of Aplidium pliciferum and Herdmania momus, us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efficacy of Aplidium pliciferum and Herdmania momus ethanol extract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using Minitab® 18 (IBM, USA).?After various radicals were removed from the extracts of Aplidium pliciferum and Herdmania momus, DPPH was detected in 30.87±1.98% in Aplidium pliciferum, 88.27±0.84% in Herdmania momus, and ABTS in 56.23±2.50% in Aplidium pliciferum and 94.80±0.91% in Herdmania momus in the concentration of 20 mg/ml. Also, NO was detected in 88.57±0.81% in Aplidium pliciferum and 97.53±0.34% in Herdmania momus, respectively, thus all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So we can confirm the efficiency of the solvent acts as an important factor through the total poly phenol content 강상모,류정아 중소기업융합학회 상세보기
        만두멍게와 분홍멍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본 연구는 해양자원인 만두멍게와 분홍멍게의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두멍게와 분홍멍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소거능 및 ABTS 소거능, 폴리페놀 항산화 물질 함량, NO 생성 억제능 분석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항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두멍게와 분홍멍게의 추출물은 각종 radical(DPPH, ABTS, NO) 소거 효과 결과, 20 mg/ml 농도에서 DPPH는 만두멍게가 30.87±1.98%, 분홍멍게가 88.27±0.84%, ABTS는 만두멍게가 56.23±2.50%, 분홍멍게가 94.80±0.91%, NO는 만두멍게가 88.57±0.81%, 분홍멍게가 97.53±0.34%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총 폴리페놀 함량을 통해 분홍멍게의 항산화 물질 추출에 사용된 용매의 효율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분홍멍게를 주물질로 첨가하여 만두멍게와 분홍멍게를 조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강상모,류정아 중소기업융합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2건, 1/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N0007778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만두멍게
      Aplidium pliciferum
      대한민국 2012-10-30
      MABIK CN0007860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만두멍게
      Aplidium pliciferum
      대한민국 2012-02-11
      MABIK NP2018000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추출물 만두멍게
      Aplidium pliciferum
      대한민국 2017-03-01 29 Tube
      MABIK NP2019003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추출물 만두멍게
      Aplidium pliciferum
      대한민국 2012-03-22
      MABIK TI0000264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조직 만두멍게
      Aplidium pliciferum
      대한민국 2017-03-01 1 Tube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