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열한가시밤게Arcania undecimspinosa De Haan, 1841
갑각의 윤곽은 거의 원형에 가깝고 길이는 폭보다 약간 길다. 등 면은 여러 가지 크기의 좁쌀 모양의 과립들로 빽빽하게 덮여 있다. 간구역, 염통구역, 장구역은 희미하게 구분된다. 이마는 2개의 예리한 삼각형의 돌기로 나뉜다. 갑각의 둘레에는 11개의 가시가 있다. 이 중에서 맨 앞의 것은 양 뺨구역에 있는 가장자리보다 아래에 있으며 가장 작다. 8개의 가시는 갑각의 가장자리에 있고, 장구역에는 1개의 가시가 있다. 집게다리는 가늘고 길다. 긴마디는 원기둥 모양이고 약간 휘었으며, 좁쌀 모양의 과립들로 덮여 있다. 배는 암수 모두 5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살아 있을 때 몸은 주황색을 띠는 붉은빛을 나타낸다. 갑각 길이는 이마뿔을 제외하고 약 30mm, 폭도 30mm 정도의 크기이며, 오른쪽 집게다리 길이는 60mm 정도이다. 수심 30~100m 깊이의 모래, 진흙질 바닥에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해안에서는 안면도 모래밭에서 채집한 기록이 있고, 동해안에서는 수심 50m 내외의 모랫바닥에 쳐 놓은 그물에 잘 걸린다. 남해안 매물도 인근에서는 진흙 섞인 암석과 돌 틈에 서식한다.
한반도 동해, 서해, 남해에 서식한다. 조하대 모래, 진흙질에 서식한다.
[1]
갑각은 둥글고 등면은 좁쌀 모양의 과립들로 덮여 있다. 이마는 눈구멍을 약간 지나 돌출하였다. 갑각의 둘레에 11개의 가시가 있다. 집게다리는 기둥 모양이며, 두 손가락은 납작하다. (Kim, 1973 편집 인용)
[2]
일본, 동지나해, 타이완, 중국 남부, 인도, 호주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3].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참고문헌
Galil, B.S. and P.K.L. Ng 2007 Leucosiid crabs from Panglao, Philippines, with descriptions of three new species (Crustacea: Decapoda: Brachyura). The Raffles Bulletin of Zoology Suppl. 16:79-94.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3 | 3 | 3 | 3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3 | 3 | 3 | 3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3 | 3 | 3 | 3 | 3 |
NCBI (Arcania undecimspinos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