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도루묵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 (Steindachner, 1881)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Perciformes농어목 > Trichodontidae도루묵과 > Arctoscopus도루묵속 >
  • 종설명(Description)

    •   성숙한 암컷은 16cm 내외, 수컷은 13cm 내외이다. 제1등지느러미 극조 수는 8-14개, 제 2등지느러미 연조 수는 11-16개, 뒷지느러미 기조 수 28-34개이며, 몸과 머리는 심하게 측편되어 있고, 제1등지느러미 앞부분의 체고가 가장 높고, 뒤로 갈수록 낮아진다. 비늘과 측선이 없으며, 아래턱이 위턱 앞으로 돌출되어 있어 입이 위쪽을 향한다. 등지느러미의 극조와 연조가 분리되어 있고 뒷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아래에서 시작하여 미병부까지 길게 이어진다. 등은 황갈색이며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흑갈색 물결무늬가 있고, 복부는 은백색이다.

    •   우리나라에서 산란기는 10-12월이지만 주 산란기는 12월이다. 산란장은 동해 연안의 수심 2-10m 지역이며, 해조류가 번성한 곳이다. 만 2년생은 산란에 참여하고, 성숙한 암컷은 5천에서 2만 5천개의 알을 가진다. 곤쟁이류, 요각류, 단각류, 해조류 및 소형어류 등을 섭식한다(이 등, 2006). 서식 수온은 2-13℃이지만, 산란 시기의 수온은 6-10.5℃로 알려져 있다.

    •   우리나라의 동해(강원 강릉, 고성, 동해, 삼척, 경북 영덕, 포항) 주변해역

    •   일본 중부 이북, 캄차카반도, 오호츠크 해, 알래스카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313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22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2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전통지식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6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임연수어ㆍ도루묵ㆍ명태의 한자표기와 설화에 대한 고증 This dissertation was studied by focusing on Chinese character and folk tale of Atka Mackerel, Sandfish, Alaska Pollack. Our ancestors wrote saltwater fish names in Chinese characters, giving them unique meanings. For example, Atka Mackerel of Chinese character(臨淵水魚) represents the ecological features, and another Chinese character(林延壽魚) represents fishing process. But don'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ose two chinese characters, created “folk tale of Atka Mackerel” using rear Chinese character as similar name of the person. Sandfish Chinese character(木魚, 目魚, 銀魚) represents ecological features, while another chinese character(還木魚, 還目魚, 回目魚) indicates the legend of Sandfish. The fitting character for “folk tale of Sandfish” is Taejo of Joseon dynasty Lee Seong-gye.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Hamkyong province received many benefits as a royal birthplace. But after Lee Jing-ok's the revolt of 1453 and Lee Si-ae's rebellion of 1467, Hamkyong province given the cold shoulder of treason. And so, people of Hamkyong province quoted “folk tale of Sandfish” to represent their poor state. Alaska Pollack Chinese character(明太) represents usefulness, but could not be used as temple name of Ming Taejo(明 太祖) during Joseon dynasty, and therefore could not be found in national archives. However, the fall of Ming dynasty in the year of 1644 lifted the ban and the Chinese character(明太) was first used in 1652. And finally, after 200 years, “folk tale of Alaska Pollack” was published in 1855 and 1872. 김양섭 국립민속박물관 상세보기
        도루묵 가수분해물 유래 항염증 펩타이드 제조를 위한 효소 가수분해 최적 조건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펩타이드를 생산하기 위해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의 어육과 알로부터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으며, 단백분해효소, pH, 온도, 효소 농도 및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NO 소거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최적 가수분해 조건을 설정하였다. 어육 가수분해물의 최적 조건은 pH 5.0, 온도 $30^{circ}C$ , 효소 농도 1%, 가수분해 시간 4시간으로 확인되었으며, 알 가수분해물의 최적 조건은 pH 5.0, 온도 $70^{circ}C$ , 효소 농도 3%, 가수분해 시간 3시간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최적의 가수분해 조건에서 어육 및 알 가수분해물의 NO 소거활성은 각각 18.94 및 19.81%로 측정되었다. 이는 도루묵 단백질 가수분해물 유래 항염증 펩타이드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장혜림,윤경영 한국식품과학회 상세보기
        도루묵의 체내 변화에 따른 음향산란특성 Changes in target strength (TS) values of sandfish when sandfish was alive and dead were investigated using ex-situ at 120 kHz. TS values measured by tilt angles with .50∼+50 degrees showed ranges from .71.0 to .53.3 dB for live sandfish, .63.1~.46.3 dB for thawed sandfish, and .70.0~.50.4 dB after 24 hours from thawed,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while TS values were similar between the case of live and the case of after 24 hours from thawed, mean TS values were higher by approximately 5 dB in the case of immediate thawed sandfish. It was also seen that TS values were similar between the case of thawed sandfish and the case of after 21 hours from live. The results showed that TS values of live sandfish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frozen sandfish. It implies that when estimating TS of frozen fish, the influx of bubbles and changes of body should be considered. 윤은아,이경훈,황강석,이형빈,한인우,황두진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동해 연안에 출현하는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의 위내용물 조성 The diet composition of Arctoscopus japonicus was studied using 448 specimen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 Sea, Korea. The size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6.2-25.3 cm in total length (TL). A. japonicus were fed mainly on amphipods that constituted 76.1% in IRI. Euphausiids were the second largest prey component. The diets also include small quantities of crabs, copepods, mysids, cephalopods, monogeneans, and fishes. A. japonicu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er individuals (6-10 cm, TL) fed mainly on amphipods. The proportion of amphipods decreased as body size increased, whereas the consumption of euphausiids gradually increased (10-14 cm, TL). As the body size more increased, the proportion of amphipods increased whereas euphausiids decreased (14-26 cm, TL). 강다연,고아름,정재묵,백근욱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동해안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의 회유와 분포변동 특성 Distribution pattern and fishing conditions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ae were explored using catch and catch per unit effort (CPUE) by eastern sea Danish seine and coastal gill net fisheries from 2004 to 2008. A. japonicus was one of major target species for the eastern sea Danish seine and coastal gill net fisheries in the East Sea, which were caught from April to October for the eastern Danish seine, and from October to December for the coastal gill net, respectively. In recent, the distribution and centroid of fishing ground moved northward, as seawater temperature increased. The species spawned in the coastal areas of Gangwon, northern East Sea, during winter, started to move to deeper water after spawning from spring, extended widely from Gangwon to Ulsan, southern East Sea, during summer, and migrated back to the spawning ground off Gangwon during autumn. 양재형,이성일,박기영,윤상철,김종빈,전영열,김상우,이재봉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0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도루묵 란 유래의 정제된 부화효소, 이의 제조방법, 이의 안정화 방법 및 이의 용도 102015006425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1020060116486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도루묵 어육을 포함하는 어묵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30058199 한국식품연구원 원문정보
        도루묵알 지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102020017414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열빙어 알 또는 도루묵 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1020190153173 주식회사 선마린바이오테크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국명지역주용도구전 전통지식
        Arctoscopus japonicus 도루묵 강원도 식용,약용 12월에 야생에서 잡은 도루묵의 알을 생으로 먹으면 숙취 해소에 좋다.
        11~12월에 많이 잡히는 도루묵을 구워서 먹거나 찌개를 끓여 먹으며, 식해를 담가서 먹기도 한다.
        도루묵을 회로 먹을 때에는 뼈가 있는 상태로 썰어서 먹는다.
        겨울에 바다풀 사이에 낳아놓은 도루묵알을 채취해 물에 삶아서 먹는데 노랗게 익으면 먹는다.
        음력 8월에서 2월까지 알이 밴 도루묵을 잡아 구워서 먹거나 매운탕으로 먹는다.
        해초 주변에서 도루묵을 잡는데 해초에 산란한 알은 딱딱해서 먹지 않으나 도루묵이 품고 있는 주황색 알은 부드러워 별미로 먹는다.
        겨울에 바다에서 도루묵을 잡아 구워서 먹거나 좁쌀밥이나 찹쌀밥을 넣어 식해를 담가서 먹는다.
        육수를 내어 김장김치를 담으면 시원한 맛이 난다.
    • 자원정보

      검색바

      총 471건, 1/9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050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
      대한민국 2011-05-23
      MABIK PI0000051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
      대한민국 2011-05-23
      MABIK PI0000052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
      대한민국 2011-05-22
      MABIK PI0000052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
      대한민국 2011-05-21
      MABIK PI0000058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
      대한민국 2011-05-2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