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사철쑥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 1780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Angiospermae피자식물문 > Dicotyledoneae쌍자엽식물강 > Asterales국화목 > Asteraceae국화과 > Artemisia쑥속 >
  • 종설명(Description)

    •   바닷가, 길가, 강가 등의 모래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또는 반떨기나무다. 꽃은 8-9월에 피고, 열매는 10-12월에 익는다.
      [1]

    •   뿌리는 두껍고 나무질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10cm, 지름 1.2-1.8mm, 밑부분이 나무질이다. 뿌리잎은 꽃이 피기 전에 마르며, 넓은 난형으로 2-3회 깃 모양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좁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다. 줄기잎은 마주나고, 대부분 잎자루가 없으며, 난형으로 2-3회 깃꼴로 완전히 갈라지고, 길이 1.8-6.3cm, 너비 1.9-4.5cm이다. 갈래조각은 3-4쌍으로 도피침형이며, 1-2회 다시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꽃은 머리모양꽃으로 피며,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모인꽃싸개는 난형으로 길이 1.5-1.8mm, 지름 0.8-1.2mm, 꽃싸개조각은 3-4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0.5-0.8mm, 갈색, 털이 없다.
      [1]

    •   러시아(우수리), 몽골, 일본, 중국(동북지방), 필리핀
      [1]

    •   인천, 경기,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

    •   어린잎은 식용하며, 전초는 약용한다.
      [1]

    • 출처

      [1]. 박명순, 남보미, 정규영. 2011. 사철쑥과 비쑥의 분류학적 실체. 식물분류학회지. 41: 1-9.

    • [2]. 박명순, 남보미, 정규영. 2011. 사철쑥과 비쑥의 분류학적 실체. 식물분류학회지. 41: 1-9.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4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Importance of Biotic and Soil Factors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Strategies of Coastal Salt Marsh Plants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in the salt marshes of the southwestern coasts of South Korea was studied, along with environmental or plant factors, by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and the competitor (C), stress tolerator (S), and ruderal (R) (CSR) ecological strategies. The coastal salt-marsh pl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lant-factor groups in the CCA biplot diagram. Group 1 was correlated with LS and FP. Group 2 was correlated with CH and SLA, and Group 3 was correlated with LA, LDMC and LDW. The salt-marsh pl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soil-factor groups in the CCA biplot diagram. First, the group factor was correlated with TN, TOC, and Ca2+. Second, the group factor was distributed according to Mg2+, soil texture as Clay and Silt. Third, the group factor was distributed according to Salinity and Na+ content. Fourth, the group factor was distributed according to Sand content. To clarify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competition, stress, and disturbance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plant communities, the CSR distribution model was adopted. The nine species showed CR (competitor-ruderal) strategies: Artemisia fukudo, Artemisia scoparis, Aster tripolium, Atriplex gmelini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Salicornia europaea, Suaeda japonica, and Suaeda maritima. The four species with C (competitor) strategies were Artemisia capillaris, Limonium tetragonum, Triglochin maritimum, and Zoysia sinica. Carex scabrifolia and Phragmites communis displayed SC (stress-tolerant-competitor). Both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CCA diagrams and CSR triangles may provide a useful scientific basis for protecting and restoring salt marshes and their valuable ecosystem services, considering the increasing disturbances.

        Son, Dong-Ho,Lee, Jeom-Sook,Kim, Da Eun,Lee, Seung Ho,Hong, Sun-Kee,Myeong, Hyeon-Ho,Cho, Jang-Sam,Lee, Jae-Choon,Lee, Jae-Young,Seon, Hwi Joon,Kim, Jong-Wook Shima Publishing 상세보기
        해안식물 5종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 본 연구는 자생식물인 순비기나무, 번행초, 사철쑥 등을 이용하여 친환경 농자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용성 추출액 농도에 따른 Stemphylium vesicarium, Penicillium italicum, Sclerotinia sclerotiorum, Pythium ultimum, Botrytis cinerea, Rhizoctonia solani,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7종의 작물 병원균에 대해 생장을 조사하였다. 공여체식물별에 따른 수용성 추출액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작물 병원균 균사의 생장이 감소하는 경항을 보이나 공여체식물과 병원균의 종류에 따라 억제의 정도차이를 보였다. Stemphylium vesicarium 경우 번행초와 사철쑥에서 농도 증가에 따라 각각 r = -0.857 (p<0.01), r = -0.868 (p<0.01)로 역의 상관을 보였고 Penicillium italicum은 순비기나무 r = -0.833 (p<0.01), Sclerotinia sclerotiorum은 순비기나무 r = -0.862 (p<0.01)와 사철쑥 r = -0.902 (p<0.01), Botrytis cinerea은 번행초 r = -0.896 (p<0.01)에서 역의 상관을 보였으며 Rhizoctonia solani과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은 모든 공여체식물에서 역의 상관을 보였다. 100% 처리구에서 균사의 생장억제 활성은 번행초인 경우 Pythium ultimum,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해 각각 94%, 50%, 80%의 억제율을 보였다. 사철쑥인 경우 Stemphylium vesicarium, Pythium ultimum에 대해 각각 43%, 90%의 억제율을 보였다. 황근은 Penicillium italicum, Sclerotinia sclerotiorum에서 각각 50%, 26%가 억제되었으며 무화과는 Rhizoctonia solani에 대해 74%가 균사 생장이 억제되었다. 항균활성을 보이는 수용체식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사철쑥 16.15 mg/g, 무화과 7.81 mg/g, 순비기나무 6.18 mg/g, 황근 5.25 mg/g, 번행초 4.41 mg/g 순으로 조사되었고 플라보노이드는 사철쑥 27.57 mg/g, 순비기나무 12.49 mg/g, 무화과 11.45 mg/g, 황근 5.77 mg/g, 번행초 5.08 mg/g 순으로 분석되었다. 권난희,김태근,박성준,김현철,송창길 한국유기농업학회 상세보기
        한국서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지방산 조성 비교 지질은 생체내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부적절한 식이 섭취로 인한 지방산의 불균형은 성인병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어류나 해조류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과 질병과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이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6종의 염생식물에 대하여 지방산의 조성과 함량을 조사하였다. 용매 추출된 염생식물 시료는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퉁퉁마디, 수송나물, 염주괴불주머니, 사철쑥, 갯질경 등이 높은 총지방산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16:0)는 실험 대상 전체에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그 %함량도 대부분의 염생식물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단일불포화지방산에서는 oleic acid (18:1)가 그리고 n-6계 다중불포화지방산에서는 linoleic acid (18:2)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 중에서 천일사초가 26.40%로 LNA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모래지치, 수송나물, 갯메꽃 순으로 나타났다. EPA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나 칠면초가 1.8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DHA는 여러 대상 식물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흰명주아뀌가 14.54%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염생식물이 해조류나 어류의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함량에 있어서 뒤지지 않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천연물 화학적이나 식품학적 추가 연구를 통해 여러 질병의 예방과 치료분야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김유아,엄영란,이정임,김해진,임선영,남택정,서영완 한국생물공학회 상세보기
        제주도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Hemsl.) 자생지의 환경특성 본 연구는 산림청의 희귀식물 중 취약종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주도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갯금불초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갯금불초의 자생지는 경사 $1-40^{circ}$의 해안사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전사구를 중심으로 띠모양의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분석결과 7개 지역의 19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38분류군이었다. 중요치는 갯금불초가 44.7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순비기나무(13.32%), 좀보리사초(6.75%), 갯메꽃(4.24%), 갯쑥부쟁이(2.54%), 사철쑥(2.43%) 등이 높은 값을 보여 이 분류군들이 갯금불초와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평균 0.79로 산출되었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25와 0.67이었다. 토양분석결과 포장용수량은 4.51%, 유기물함량은 3.37%, pH는 8.17, 유효인산함량은 $1.33{mu}g/g$, 그리고 전기전도도는 $802.01{mu}s/cm$로 측정되었다. 김경아,한준수,천경식,유기억 한국환경생태학회 상세보기
        사철쑥의 내륙과 해안 자생지 생육과 포장 이식의 적응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of farm field soil transplanting and habitat growth in inland and seashore areas of Artemisia capillaris in South Korea. In habitat, Artemisia capillaris was distributed both in the inland and seashore area as hemicryptophyte, and it grows individually on the slope of the open sunlight. The inland and seashore soils of habitat was the slightly acid and weakly alkaline, respectively. Plant height was 55.6 cm, and it was higher in inland than that of the seashore area. The stem and branch number was less in inland than that of the seashore area. Flowering period was mid-August, and flower of inland blossomed early 1 ~ 3 days than that of the seashore area. The flowering and fruiting rate was slightly lower in inland than that of the seashore area. After transplanting of Artemisia capillaris, plant height was 71.7 cm, and it was higher 16.1 cm than that of the habitat. The stem and branch number was more than that of the habitat, and flower blossomed early 3 ~ 4 days than that of the habitat. Transplanting survival rate was 85.1%, it was slightly higher in inland than that of the seashore area. 송홍선,김성민 한국약용작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6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사철쑥 및 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20220171595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원문정보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한 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020210144918 주식회사 더마랩 원문정보
        사철쑥, 캐모마일, 녹각사, 금불초 및 예덕나무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진정용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1020240024267 한국콜마주식회사|주식회사 더마랩|주식회사가디뷰이 원문정보
        사철쑥 추출물, 갯강활 추출물 및 띠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을 함유한 항산화, 항염증,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세포 보호 효과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1020230195266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원문정보
        사철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20220176534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국명생리활성원료등록특징/이용
        Artemisia capillaris 사철쑥 항산화, 항염증, 항균 식품원료 등록 화장품원료 등록 식품원료 등재, 화장품원료 등재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8건, 1/6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GR0000403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gDNA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2019-06-01 15 Tube
      MABIK TI0000300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조직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2019-06-01 16 Tube
      MABIK TP000020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2017-06-26
      MABIK TP0000209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2019-06-01
      MABIK TP0000250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 2020-09-1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