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방울비짜루(Asparagus oligoclonos)로부터 분리한 스테로이드 사포닌의 항균활성 방울비짜루의 MeOH 추출물 및 수포화 BuOH추출물로부터 항균활성을 확인하고 그 원인물질을 구명하던 중 두 종의 steroid saponin을 분리하였다. 이들의 구조확인을 위해 $^1H,\;^{13}C$ NMR 및 2D NMR 등 분광학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최종 이들의 구조가 25S-spirostane계의 steroid saponin인$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yl]-(25S)-spirostan-3{\beta}-ol$ 및$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xylopyranosyl-(1{\rightarrow}4)]-{\beta}-D-glucopyranosyl}-(25S)-spirostan-3{\beta}-ol$ 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이 두 화합물은 방울비짜루로부터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이들 saponin의 항균활성 및 항균 스펙트럼을 검사하기 위하여 20개 균주에 대한 MIC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그중 10개 균주에 대해$100\;{\mu}g/ml$ 의 농도에서 세균의 성장을 저지하는 항균력이 있었으며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성재덕,박승용,오세량,곽용호,김금숙 한국응용생명화학회 상세보기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Halophytes Halophytes are expected to possess abundant secondary metabolites an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because of habitat in extreme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collected 14 halophytes (Asparagus oligoclonos, Calystegia soldanella, Carex pumila, Chenopodium glaucum, Elymus mollis, Glehnia littoralis, Limonium tetragonum, Messerschmidia sibirica, Rosa rugosa, Salsola komarovii, Spergularia marina, Suaeda glauca, Suaeda maritima, and Vitex rotundifolia) native to Korea and compared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R. rugosa (27.28%) and L. tetragonum (13.17%)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12 halophytes and L. tetragonum, R. rugosa, and M. sibirica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other 11 halophytes, as determined by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A. oligoclonos, E. mollis, and C. pumila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an the other 11, as determined by NO (Nitric oxide) and $PGE_2$ (Prostaglandin$E_2$ ) levels. In contrast, these three extracts had normal and low total polyphenol contents among the 14 halophytes. Consequent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14 studied halophytes appeared to be related to antioxidant, but not anti-inflammatory activity levels.Lee, Jeong Min,Yim, Mi-Jin,Lee, Dae-Sung,Lee, Myeong Seok,Park, Yun Gyeong,Jeon, Jae Hyuk,Choi, Grace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상세보기 방울비짜루 지표성분의 함량분석과 항산화·항염증 활성 Asparagus oligoclonos is one of the endemic halophytes used folk medicine in Korea. We isolated the main compound rutin from methanol extracts of A. oligoclonos based 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d TOF ESI-MS data. We have investigated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of main compound using HPLC and the results exhibit that rutin content of A.oligoclonos were 1.816%. To explore anti-oxidant from A. oligoclonos ethanol extracts (AOE),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AOE on $H_2O_2$ -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W 264.7 cell. AOE were reduced$H_2O_2$ -induced oxidative stress via enhancement of cell viability, and AOE significantly decreased ROS production depending on concentration. Next, to screen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OE,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AOE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AOE had no effect on cell viability at a concentration of$500{mu}g/mL$ .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OE may be a usefu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gent.이현주,정다은,강주은,심미옥,성태경,우경완,안병관,정호경,조현우 한국생약학회 상세보기 인천 옹진 굴업도의 식물상과 비교사례 연구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굴업도의 식물상과 기존문헌과의 비교사례를 조사한 것으로, 굴업도의 전체식물상은 81과 201속 252종 3아종 22변종 5품종으로 총 28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의 생활형 중 휴면형은 반지중식물이 66분류군(23.4%), 번식형 중 지하기관형은 단립식물( $R_5$ )이 160분류군(56.7%),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D_4$ )이 137분류군(48.6%), 생육형은 직립형(e)이 117분류군(41.5%)으로 각각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이중 염생식물은 솔장다리, 방울비짜루 등 23분류군이, 희귀식물은 세뿔석위, 금방망이 등 7분류군이, 특산식물은 새끼노루귀, 해변싸리 등 5분류군이 각각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에 금방망이 1분류군, III등급에 세뿔석위, 병아리꽃나무 등 8분류군, II등급에 돌뽕나무, 흰대극 등 6분류군, I등급에 백선, 순비기나무 등 23분류군으로 도합 3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아까시나무, 털빕새귀리 등 17분류군으로, 이중 돼지풀은 생태계교란식물이다. 조사된 전체 282분류군의 관속식물 중 귀화율(NR)은 6.0%에 해당되며, 도시화지수(UI)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321분류군의 5.3%에 해당된다. 굴업도와 인접해 있는 백아도는 현지 조사하였으며, 인천광역시 옹진군, 강화군 무인도서와 백령도, 대청도 등 총 41개 섬의 기존문헌을 정리한 결과, 평균 출현종수는 약 89분류군, 희귀식물은 약 2종, 특산식물은 약 1종, 귀화식물은 약 4종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굴업도에 분포하는 식물상과 인근도서의 기존문헌과 비교를 통해 굴업도의 자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오현경,한윤희,김은옥,김영하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3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분리한 신규 항암활성 화합물 및 그 정제방법 102002002924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문정보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단리되는 신물질인 아스파올리고닌 10199900334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문정보 방울비짜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2023004538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