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동해붙은꼬리옆새우Atylus collingi (Gurjanova, 1938)
몸의 길이는 약 11mm로 중형종이다. 좌우로 납작하다. 두부는 제1, 2흉부를 합한 길이와 비슷하다. 이마뿔은 길게 신장하여 제1촉각 제1병부마디 중간에 이른다. 눈은 중간 크기로 콩팥모양이다. 측두엽은 앞쪽으로 뾰족하다. 제6, 7흉절과 복절 등쪽으로 융골을 가진다. 제1, 2촉각은 강모가 적다. 제1촉각은 머리보다 약 2배 길다. 제1촉각 제1병부마디는 제2병부마디보다 두툼하고 길며 복측 원위부가 약간 돌출한다. 부채찍은 단일분지하고 작다. 주채찍은 10마디로 병부와 길이가 비슷하며 각 마디 복측에 칼세오리를 가진다. 제2촉각은 제1촉각에 비해 길이가 길고 제4병부마디는 제5병부마디보다 짧다. 주채찍은 7마디로 병부보다 짧다. 제1악지 저절은 직사각형이다. 손바닥은 비스듬하고 복측 변보다 짧으며 말단에 열을 이루는 가시다발을 가진다. 제2악지는 제1악지와 비슷하다. 저절은 제1악지의 것보다 약간 더 크고 원위부 앞쪽이 신장하지 않는다. 완절과 전절은 제1악지의 것보다 더 길다. 제3흉지 저절은 직사각형이다. 제4흉지는 제3흉지와 비슷하지만 저절은 뒤쪽으로 약간 오목하다. 제5흉지 저절은 2개의 엽으로 나뉘어지고 전복측 엽은 좁고 아래쪽으로 신장한다. 기절은 사각형으로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제6흉지는 제5흉지와 유사하지만 더 많은 가시와 강모를 가진다. 제7흉지 저절은 단일엽으로 구성된다. 기절은 뒤쪽으로 팽창하여 넓고 뒤쪽 원위부 아래쪽은 강하게 돌출되어 좌절 말단을 넘어간다. 제1미지 병부는 직사각형으로 내지보다 길다. 내지는 외지보다 약간 더 길다. 제2미지 병부는 내지에 비해 약간 더 길다. 제3미지 병부는 내지보다 짧다. 꼬리는 삼각형에 가깝고 2개의 엽으로 나뉜다.
해초나 진흙에서 튜브를 만들어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몸의 길이는 약 11mm인 중형종으로 좌우로 다소 납작하고 등쪽으로 매끈하지만 제6,7흉절과 복절은 원위부에 용골을 가진다. 제1촉각은 강모가 적고 머리보다 2배정도 길다. 부채찍은 단일분지하고 작다. 주채찍은 10마디로 병부와 길이가 비슷하다. 제2촉각은 강모가 적고 제1촉각에 비해 길다. 주채찍은 7마디로 병부보다 짧다. 제1악지 저절은 직사각형으로 복측변에 열을 이루는 작은 강모들이 있다. 손바닥은 비슷듬하고 복측변보다 짧으며 말단에 열을이루는 가시군들이 있다. 저절은 손바닥보다 짧고 손바닥에 꼭 맞는다. 제2악지는 제1악지와 비슷하지만 저절이 더 크고 완절과 전절이 더 길다. 제3흉지 기절부터 전절까지는 긴 직사각형으로 크고 작은 가시를 가지며 제4흉지도 유사하다. 제5흉지 저절은 2개의 엽으로 나뉘고 기절은 사각형으로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며 제6흉지도 유사하다. 제7흉지 저절은 단일엽으로 되어있고 기절 뒤쪽 원위부는 아럐쪽으로 강하게 돌출되어 좌절 말단을 넘어 신장한다. 제1미지 병부는 직사각형으로 내지보다 길고 5개의 등쪽 측면 가시, 4개의 등쪽중앙가시, 5개의 아래쪽 기부가시를 가진다. 내지는 외지보다 약간 더 길다. 제2미지 병부는 내지에 비해 약간 더 길다. 내지는 외지에 비해 길다. 제3미지 병부는 내지보다 짧고 말단에 1개의 가시를 가진다. 내지는 외지보다 약간 더 길다. 꼬리는 삼각형에 가깝고 중앙으로 2/3가 쪼개져 2개의 엽으로 나뉜다. 각 엽의 정단부에 1개의 작은 가시와 1개의 다발털을 각각 가진다.
[2]
러시아
강원
출처
[1]. Kim, C. B., Kim, H. S., & Kim, W. 1992. Three species of gammaridean amphipod (Crustacea) from Korean waters.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nspc3), 101-112.
[2]. 1. Gurjanova, E. F. 1938. Amphipoda, Gammaroidea of Siaukhu Bay and Sudzukhe Bay (Japan Sea). Reports of the Japan Sea Hydrobiological Expedition of the Zoological Institute of the Academy of Sciences USSR in 1934, 1, 241-404.
2. Kim, C. B., Kim, H. S., & Kim, W. 1992. Three species of gammaridean amphipod (Crustacea) from Korean waters.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nspc3), 101-112.
3. Kim, Y. H. 2011. Side swimmers I. Arthropoda: Crustacea: Malacostraca: Amphipoda: Corophiidea, Gammaridea. Invertebrate fauna of Korea, 21(8).
[3]. Kim, C. B., Kim, H. S., & Kim, W. 1992. Three species of gammaridean amphipod (Crustacea) from Korean waters.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nspc3), 101-112.
[4]. 1. Gurjanova, E. F. 1938. Amphipoda, Gammaroidea of Siaukhu Bay and Sudzukhe Bay (Japan Sea). Reports of the Japan Sea Hydrobiological Expedition of the Zoological Institute of the Academy of Sciences USSR in 1934, 1, 241-404.
2. Kim, C. B., Kim, H. S., & Kim, W. 1992. Three species of gammaridean amphipod (Crustacea) from Korean waters.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nspc3), 101-112.
3. Kim, Y. H. 2011. Side swimmers I. Arthropoda: Crustacea: Malacostraca: Amphipoda: Corophiidea, Gammaridea. Invertebrate fauna of Korea, 21(8).
참고문헌
Song, J. H., Han, Y. D., Lee, W. K., Kim, I. H., Paik, S. G., Lee, J., ... & Lee, J. S. (2017). Unrecorded species of Korean metazoans discovered through the project of. Journal of Species Research, 6(spc), 164-171.
NCBI (Atylus collingi)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