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진홍혹해변말미잘

진홍혹해변말미잘Aulactinia coccinea Verrill, 1866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2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nidaria자포동물문 > Anthozoa산호충강 > Actiniaria해변말미잘목 > Actiniidae해변말미잘과 > Aulactinia혹해변말미잘속 >
  • 종설명(Description)

    •   투명한 촉수를 갖고 있는 진홍혹해변말미잘은 확장시 , 촉수가 구반의 지름과 같거나 크다. 촉수의 끝은 뾰족하고 내측 촉수는 외측 촉수보다 다소 길며, 촉수의 수는 드물게 6배수로 존재하며 약 50개까지 자란다. 내측과 외측 촉수는 서로 통하며 끝에 구멍이 존재한다. 괄약근은 내포형이며 내배엽성을 띄고, 견인근은 강하지 않다. 촉수와 구반은 투명한 오렌지색에서 장미빛 분홍색을 띈다 체벽은 융상돌기와 함께 노란빛 오렌지색에서 분홍색까지 나타난다. [2].

    •   촉수와 구반은 투명한 오렌지색에서 장미빛 분홍색을 띈다 체벽은 융상돌기와 함께 노란빛 오렌지색에서 분홍색까지 나타난다. 주로 10~17m 수심의 조간대 암반지역에서 서식한다.

    •   남해(어유도, 가익도, 북여도, 추자도)

    •   일본

    • 참고문헌

      [1]. Song, J. I. and H. R. Cha, 2004. Three new records of Actiniaria (Anthozoa: Zoantharia) from Korea. Korean J. Syst. Zool., 20(2): 201-214.
      [2]. Song, J. I. and H. R. Cha, 2004. Three new records of Actiniaria (Anthozoa: Zoantharia) from Korea. Korean J. Syst. Zool., 20(2): 201-214.
      [3]. Song, J. I. and H. R. Cha, 2004. Three new records of Actiniaria (Anthozoa: Zoantharia) from Korea. Korean J. Syst. Zool., 20(2): 201-214.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33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산 해변말미잘목 (산호충강: 말미잘아강)의 3미기록종 제주도와 백도에서 1971년부터 2004년까지 채집된 해변말미잘류는 3과 3종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무족반족의 가지해변말미잘 (Halcampella maxima)과 족반족의 진홍혹해변말미잘 (Aulactinia coccinea )과 융단열말미잘 (Stichodactyla tapetum)으로서 이들의 자포에 대한 분포와 크기를 포함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그림과 표와 함께 자세히 기술하였다. 가지해변말미잘은 겨울에 성숙한 난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융단열말미잘은 여름에 난세포와 정자낭이 각각 다른 개체에서 관찰되었다 진홍혹해변말미잘은 체벽의 상연에서부터 하연까지 부착력이 있는 융상돌기가 종렬로 배열하는 특이한 외형을 갖고 있다. 열말미잘속 중 가장 작은 융단열말미잘은 구반 위에 길이 1.0 mm이하의 구술모양 촉수가 밀집해 있으며, 원추형의 연촉수가 1.5-2.0 mm 정도로 배열하는 것으로 구별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한국산 해변말미잘류는 니난트아목 내에 무족반족 4종과 족반족 23종이 보고된다. Song Jun-Im,Cha Ha-Rim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1건, 1/3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N0007778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진홍혹해변말미잘
      Aulactinia coccinea
      대한민국 2009-06-19
      MABIK CN0007778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진홍혹해변말미잘
      Aulactinia coccinea
      대한민국 2009-06-20
      MABIK CN0007779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진홍혹해변말미잘
      Aulactinia coccinea
      대한민국 2013-09-04
      MABIK CN0007963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진홍혹해변말미잘
      Aulactinia coccinea
      대한민국 2009-06-19
      MABIK GR0000408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gDNA 진홍혹해변말미잘
      Aulactinia coccinea
      대한민국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