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보름달물해파리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Linnaeus, 1758)

  • 유해해양생물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nidaria자포동물문 > Scyphozoa해파리강 > Semaeostomeae기구해파리목 > Ulmaridae해파리과 > Aurelia물해파리속 >
  • 종설명(Description)

    •   부유성으로 보통 수면 아래 10m 내외에서 부유하지만 깊은 수심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유영하며 촉수와 구완에 걸리는 플랑크톤을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늦은 봄부터 여름 사이 수중의 암반이나 해양 시설물 벽면에 무수히 많은 폴립들이 관찰된다.
      [1]

    •   우리나라 해파리류 중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우산은 반구형이며 위에서 보면 완전한 구형이다. 표면은 매끈하며 반투명한데 4개의 선명한 흰색 고리가 나타난다. 우산의 직경은 약 15cm 내외이며 촉수는 짧아서 2~3cm 정도이다. 구완은 4개이며 길지 않은데 가장자리가 주름져있다.
      [2]

    •   전세계 연안
      [3]

    •   우리나라 전 해역
      [1]

    • 출처

      [1].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https://ko.wikipedia.org/wiki/보름달물해파리

      [2].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3].
      https://ko.wikipedia.org/wiki/보름달물해파리

    • [4].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https://ko.wikipedia.org/wiki/보름달물해파리

      [5].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6].
      https://ko.wikipedia.org/wiki/보름달물해파리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전 생활사 단계의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에 대한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의 포식과 먹이 선호도 실험 해파리에 대한 쥐치의 포식률을 파악하기 위하여 메두사, 에피라, 폴립 단계의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를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에게 공급하고 포식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크기의 쥐치는 메두사를 적극적으로 포식하였으며, 포식률은 쥐치의 체중과 비례하였다. 평균 습중량 0.5, 1, 2.2 g의 쥐치 치어는 평균 $0.77{pm}0.51g;fish^{-1}h^{-1}$ 을 포식하였으며, 평균 습중량 150, 344 g의 쥐치 성어는 각각 $9.26{pm}1.61$ , $15.89{pm}3.67g;fish^{-1}h^{-1}$ 을 포식하였다. 유생에 있어서도 평균 습중량 3.7 g의 쥐치가 10분 이내에 100개체의 에피라를 포식하였고, 평균 습중량 2.2 g의 쥐치는 단위체중당 $5.73{pm}0.59$ polyps $g^{-1}$ of fish $h^{-1}$ 의 폴립을 포식하였다. 반면에 쥐치 성어는 폴립을 포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쥐치의 해파리 포식이 현장에서도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먹이 선호도 실험에서, 쥐치 성어는 다른 먹이인 굴(약 60%)과 갯지렁이(약 80%)를 주로 포식하였고 메두사 포식은 약 2%에 불과했다. 하지만 쥐치 치어는 다른 먹이인 곤쟁이류와 함께 에피라, 폴립도 포식하였으며, 폴립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포식활동을 보였다. 그리고 쥐치 치어는 주변에 다른 먹이가 있어도 보름달물해파리 유생에 대한 포식이 활발했지만, $11^{circ}C$ 이하에서는 섭식활동을 중지한 실험결과로부터 $11^{circ}C$ 보다 수온이 낮은 3-4월경에 발생하는 에피라 유생에 대한 현장에서의 포식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폴립의 경우 수온에 관계없이 연중 서식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쥐치 치어의 폴립 포식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쥐치를 이용하여 보름달물해파리 구제작업을 시행할 경우, 폴립을 대상으로 하여 쥐치 치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혜은,한창훈,이혜현,윤원득 한국해양학회 상세보기
        보름달물해파리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 지구온난화의 폐해 중 하나인 해파리의 대량증식은 환경 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또한 과도한 개체수는 원할한 처리가 곤란해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해파리의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개선방안으로 단순 가공식품 뿐만 아니라 해파리의 추출을 통해 산업적으로 활용가능한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의 응용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름달물 해파리 유래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규명하였다. 인간피부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독성, 주름 개선 효과와 관련된 procollagen 발현양의 증가 및 노화로 증가되는 SA-${￿eta}$-Gal 효소의 활성을 염색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항노화 화장품 신소재로서의 사업화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서효현,조문진,이진형,이정훈,김소정,이건섭,이택견,모상현 한국산학기술학회 상세보기
        통영 인근해역에서 음향기법을 이용한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coerulea)의 밀도 추정 Moon jellyfish Aurelia coerulea are highly abundant off the coast of Tongyeong, Korea. We measured the density of A. coerulea in this area using a scientific echosounder at frequencies of 38 and 120 kHz, and then applied a distorted wave Born approximation (DWBA) model to calculate the target strength of the echosounder at each frequency. Then, we used the frequency difference method to extract jellyfish echo signals and estimate the A. coerulea density. A. coerulea wa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water column; the backscattering strength ranged from -75 to -65 dB. In May and August, the A. coerulea densities at survey lines 3 and 4 were estimated at 1.5-1.6 and 0.2-0.9 g/m2, with mean weighted densities of 1.04 and 0.48 g/m2, respectively. In September, the A. coerulea densities estimates in Jaran Bay and Goseong Bay were 0.6-2.1 and 0.1-0.4 g/m2, with mean weighted densities of 1.25 and 0.24 g/m2, respectively. 신형호,한인우,오우석,채진호,윤은아,이경훈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경피 침투율이 높은 보름달 물해파리 유래 바이오 융합 소재 개발 보름달 물해파리 유래 펩타이드인 LVH는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소재로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LVH의 피부 침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LVH와 팔미트산을 이용하여 pal-LVH를 합성하였고, 합성된 pal-LVH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두 펩타이드의 세포독성, 항노화, 주름 개선 그리고 피부 자극에 대한 효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Pal-LVH는 LVH와 마찬가지로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고농도에서는 LVH와 비슷한 우수한 상처 치유와 항노화 능력을 보였고, 주름개선 효과 또한 저농도에서는 LVH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pal-LVH 펩타이드는 피부 침투율을 증가시키면서, LVH 펩타이드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효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한다. 따라서 pal-LVH는 주름개선 효과 및 안티에이징 물질 등의 기능성 신소재로서 가능성을 제시하며,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하여 의약품 개발에 응용되어 질 수 있다. 김형식,서효현,이서희,임현정,신정원,김섭리,모상현,김광환 한국융합학회 상세보기
        주파수 70 kHz를 이용한 보름달물해파리의 유영 자세각과 박동에 따른 초음파산란강도 Target strength (TS) information is an important parameter that estimates the detection,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Aurelia aurit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TS of jellyfish, some factors such as size (bell diameter), tilt angle, pulsation, and symbion should be known. In the ex situ TS measurements, the tilt angles and pulsation from synchronized swimming behavior of four live A. aurita (bell diameters in the air: 54.2 ~ 94.2 mm) were measured with the acoustic data at 70 kHz. The reduced target strength (RTS) of A. aurita was found to change ranged from 13.4 ~ 16.5 dB according to the incidence angles from $-30^{circ}$ to $24^{circ}$. When the change rate of bell diameter in the water was 0.2, the TS value showed a 7.2 dB change.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as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acoustic characteristic scattering of A. aurita. 윤은아,황두진,히로세 미유키,사와다 코유이치,후쿠다 요시아키,무카이 토오루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6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보름달 물해파리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추출된 보름달물해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팩 조성물 10201700718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산성화된 해수 노출에 대응하는 보름달물해파리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류의 생리 또는 대사 변화 예측방법 102016007085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원문정보
        보름달물해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20120080520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원문정보
        보름달물해파리를 이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방법 1020110020790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원문정보
        COI 유전자를 이용한 보름달물해파리 검출방법 1020210107099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국명생리활성원료등록특징/이용
        Aurelia aurita 보름달물해파리 항산화 식품원료 등록 식품원료 등록
    • 자원정보

      검색바

      총 72건, 1/1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N0006030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름달물해파리
      Aurelia aurita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2011-06-06
      MABIK CN0006030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름달물해파리
      Aurelia aurita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2011-06-06
      MABIK CN000603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름달물해파리
      Aurelia aurita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2011-06-06
      MABIK CN0006030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름달물해파리
      Aurelia aurita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2011-06-06
      MABIK CN0006030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름달물해파리
      Aurelia aurita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2011-06-06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