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가시이마쏙

가시이마쏙Austinogebia wuhsienweni (Yu, 193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Decapoda십각목 > Pleocyemata범배아목 > Gebiidea가재붙이하목 > Austinogebia가시이마쏙속 > Austinogebia wuhsienweni가시이마쏙 >
  • 종설명(Description)

    •   가시이마쏙의 이마뿔은 삼각형이고 기부에서 넓고 작은 더듬이자루의 제2마디의 절반을 넘어서 뻗어 있다. 이마뿔의 등 쪽으로 강모가 밀집하여 덮여 있으며, 5~6개의 등옆 혹과 2~4개의 밑가시를 가진다. 갑각의 앞쪽 측면 돌출물은 이마뿔의 중간에 이르고 앞부분에 2개의 작은 가시와 배 쪽으로 2개의 가시를 가진다. 옆 부분의 융기는 등 면 중간에 있는 얕은 홈으로 나누어지는데 앞쪽과 뒤쪽은 각각 5개의 혹을 갖는다. 앞옆가장자리에는 4~5개의 가시가 있고, 눈구멍 뒤쪽에는 몇 개의 작은 가시나 이가 있고, 목홈의 옆가장자리에는 작은 가시들로 된 열이 있다. 작은더듬이자루 각각은 가시를 가지지 않는다. 더듬이자루의 제3마디의 배 쪽 앞가장자리에는 작은 가시가 나 있다.

    •   이마뿔은 삼각형이고 앞의 절반에는 이가 있고, 위구역 옆 융기 앞의 절반에는 등쪽으로 6~9개의 가시 모양의 이가 있다. 더듬이자류의 제3마디의 배쪽 앞가장자리 가까이에는 작은 가시가 있다.(Kim and Kim, 2017 편집 인용)
      [1]

    •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   전남 영광, 함평만, 충남, 전북 등 서해안 지역

    •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 참고문헌

      Yu, S.C. (1931) On some species of shrimp-shaped Anomura from North China. Bulletin of the Fan Memorial Institute of Biology (Zoology), 2, 85-96.
      (2) Kyu Hyun Lee, Jae Hee Song, Hyun Mi Ahn, Hyun Sook Ko (2014) First Report of Mud Shrimp Austinogebia wuhsienweni (Crustacea: Decapoda: Upogebiidae) from Korean Waters.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30(4) : 334-338.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보령과 홍성 갯벌에 착저한 쏙 2종(Upogebia major and Austinogebia wuhsienweni)의 성장 본 연구에서는 쏙류의 고밀도 서식 때문에 2008년 이후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한국 서해안 갯벌의 패류양식장에서 착저 초기에 쏙과 가시이마쏙의 초기 성장, 서식 깊이, 상대성장 특성을 구명하여 물리적 제거 또는 포획에 관한 기초적 생태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5월 초순에 갯벌에 착저한 어린 쏙은 8월 이후에 두흉갑장이 10 mm 이상으로 성장하였고, 갯벌에 착저 후 1년 경과 시 두흉갑장(CL)과 전장(TL)이 각각 14.21 mm, 42.28 mm까지 성장하였으며, 주 성장 시기는 4~10월이었다. 당년산 어린 쏙의 서식 깊이는 성장과 더불어 착저 후 약 6개월 경과시까지 빠르게 증가하였다(7월 5 cm, 9월 12.5 cm, 11월 28 cm). 어미 쏙(평균 두흉갑장 28.50 mm)의 연중 서식 깊이는 10~93 cm이었다. 쏙의 두흉갑장(CL)-전장(TL), 두흉갑장-습전중량(TWW) 간 상대성장을 분석한 결과, 두흉갑장 26~35 mm 크기에서는 쏙의 습중량이 천수만 입구의 주교 갯벌에 비해 천수만 내측의 사호리 갯벌에서 1.2~4 g 더 무거운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당년산 어린 쏙의 착저 후 초기 성장과 서식 깊이의 증가 특성으로 볼 때, 어린 쏙이 바지락 양식장 등에 정착하여 피해를 주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5~6월경에 쏙의 착저 여부를 주의해서 관찰해야 하며, 다량의 쏙 서식이 확인되면 갯벌 속에 30 cm 보다 얕게 굴을 파고 서식하는 8월부터 12월 사이에 어린 쏙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령지역 어미 쏙의 시기별 평균 서식 깊이 면에서 볼 때 1차 제거 적기는 쏙들이 표층에 가장 가까워지는 3월부터 5월 초순, 2차 적기는 10월 중순부터 12월 초순으로 판단된다. 쏙은 갯벌양식장에서 공간점유와 먹이 경쟁 등 인간의 경제활동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engineering species로서 갯벌에 수많은 구멍을 깊게 뚫어줌으로써 다양한 생태계적 순기능도 수행하고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며 합리적인 대응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송재희,안현미,정희도,정상옥,강희웅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6건, 1/6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24801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이마쏙
      Austinogebia wuhsienweni
      대한민국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개야도리 2021-02-22
      MABIK CR0024803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이마쏙
      Austinogebia wuhsienweni
      대한민국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 2021-02-22
      MABIK CR0024803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이마쏙
      Austinogebia wuhsienweni
      대한민국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2021-02-23
      MABIK CR0024667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이마쏙
      Austinogebia wuhsienweni
      대한민국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개야도리 2016-11-30
      MABIK CR0024667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이마쏙
      Austinogebia wuhsienweni
      대한민국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개야도리 2016-11-30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