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삼각따개비Balanus trigonus Darwin, 1954
패각은 연한 분홍색이고, 개체간의 밀집 정도에 따라 모양이 달라서, 독립된 개체는 낮은 원추형이고 각구가 패각 직경의 1/3 내외이지만, 밀집된 개체는 원통형이고 각구가 패각 직경의 절반을 넘는 것도 많다. 독립된 개체는 직경 20mm를 넘는 것도 있으며, 밀집된 개체 중에는 직경이 10mm 이내인 것도 많다. 어느 경우에나 각구는 특징적으로 이등변 삼각형 모양이다. 각판의 표면에는 굵은 종주륵(縱走肋)이 나 있다. 폭부는 매우 넓고 각판의 밑변 근처까지 이어지며, 이의 윗변은 수평에 가까워서 익부는 겉으로 약간만 들어난다. 각판 내면에도 각초(殼鞘) 근처까지 이어지는 종주륵이 있다. 각관은 크고 1열이다. 각초의 높이는 각판 높이의 1/3~1/4 사이이며, 밑부분이 각판 내면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순판은 특징적으로 옆으로 좁고 위아래로 긴 모양이어서 밑변이 다른 두 변보다 뚜렷이 짧다. 밑변은 파도 모양의 굴곡을 이룬다. 외면의 성장맥은 매우 뚜렷하고 성장맥 사이의 간격이 매우 넓다. 종으로 는 4줄 내외의 깊은 고랑이 나 있는데, 고랑은 성장맥 사이에서 깊게 패어 있으므로 순판 외면에는 여러 개의 홈이 패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내면의 관접홈은 좁다. 관접융기는 길고 아래쪽 말단이 뾰족하다. 내전융기는 짧으나 선명하다. 내전근 부착점은 얕고 윤곽도 희미하다. 측 하제근 부착점은 좁고 깊다.
배판의 관접변은 희미하게 오목하고 봉판쪽 변은 희미하게 볼록하다. 발톱돌기 홈은 매우 넓고 경계는 관접변 쪽에서만 뚜렷하다. 발톱돌기의 폭은 밑변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길이의 약 1.4배이다. 발톱돌기의 봉판쪽 변과 밑변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연결된다. 순판쪽 모서리에서 발톱돌기까지의 거리는 매우 짧아서 발톱돌기 폭의 약 1/7 밖에 안 된다. 관접홈은 넓고 얕다. 관접융기는 높게 솟아 있지는 않다. 하제근 부착융기는 매우 뚜렷하고 6개 내외이다.
상순의 양쪽 윗변 중에서 중앙홈에 가까운 부분은 둥글게 솟아있으며, 이는 대개 각각 3개이고 뾰족하다. 촉지는 말단으로 가면서 조금씩 넓어지고 기부는 돌출하지 않는다. 대악의 이는 5개이지만 다섯째 이는 뭉툭하고 대개 밑모서리와 유합된다. 둘째 이는 쌍치성이다. 밑모서리에는 치상돌기가 없다. 제1소악의 위·아랫가시쌍은 구별되며, 그 사이의 가시는 대개 8개이다. 윗홈은 작다. 제1~제3흉지에서 내지는 외지보다 분명히 짧다. 제3흉지의 마디에는 갈고리 모양의 가시와 치상돌기가 있다. 교접기는 제6흉지보다 짧다. 교접기 밑돌기는 말단으로 가면서 뾰족해지며, 길이가 폭의 2배를 넘는다. 맑고 따뜻한 물에 서식하는 이 종은 각구가 작고 길쭉한 삼각형 모양이어서 겉을 보고도 쉽사리 동정할 수 있다. 또 순판 외면에 깊은 구멍이 파인 점, 주각 표면에 종주륵(縱走肋)이 있다는 점도 동정에 도움 주는 형질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저조대로부터 얕은 바다에서 발견되며, 수중 시설물(콩크리트 구조물, 방파제 시설물)에 흔히 밀집하여 부착하며, 정치망에 부착하기도 한다. 홍합, 진주담치 등의 연체동물 패각이나 부표에 부착하기도 하며 이 경우 빨강따개비와 같이 발견되는 예가 흔하다
저조대로부터 수심 30m까지 발견되며, 수중 시설물, 정치망, 부표, 홍합, 진주담치 등의 연체동물의 패각에 흔히 밀집하여 부착한다.
[1]
패각은 연한 분홍색이고, 개체간의 밀집 정도에 따라 모양이 달라서, 독립된 개체는 낮은 원추형이다. 각구는 패각 직경의 1/3 내외이지만, 직경의 절반을 넘는 것도 많다. 밀집된 개체는 원통형이다. 독립된 개체는 직경 20mm를 넘는 것도 있으며, 밀집된 개체 중에는 직경이 10mm 이내인 것도 많다. 어느 경우에나 각구는 특징적으로 이등변 삼각형 모양이다. 각판의 표면에는 굵은 종주륵이 나 있다.
[1]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참고문헌
1. (원기재) Darwin, C. (1854). A Monograph on the Sub-Class Cirripedia with Figures of All the Species. The Balanidae, (or Sessile Cirripedia); the Verricidae, etc., etc., etc. The Ray Society, London. i-viii + 1-684, pls. 1-30.
2. (2) 1.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21권 6호, 만각류(절지동물문 갑각강 만각아강 1.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21권 6호, 만각류(절지동물문 갑각강 만각아강). 환경부/국립생물자원관
3. (3) 한국동식물도감 제38권 동물편(따개비류, 공생성 요각류, 바다거미류) (1998) 교육부, 263pp. Fig. 87, Pl. 38.
NCBI (Balanus trigon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