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복숭아빛판멍게Botryllus perspicuum Herdman, 1886
군체의 공동외피는 비교적 단단하고 반투명하고 매끈하다. 10-20개의 개충들이 언제나 막혀있는 긴 둥근 계열을 이루고, 그 계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보존된 상태에서 공동외피는 무색이지만 체벽과 팽대부의 끝이 어두운 보라색이다. 개충은 3-3.5 mm 정도이고 두께는 1 mm보다 얇다. 출수공은 매우 크고 넓다. 촉수는 8-16개로 각각 크기는 모두 다르며 번갈아 있다. 왼쪽에 12-13개의 아가미구멍열이 있고 오른쪽에는 13-15개가 있으며, 아가미구멍은 열당 17개가 있다. 위는 크고 트럼펫 모양이며 9-10개의 세로 주름이 있다. 매우 작은 유문맹낭이 있다. 정소가 몸 양쪽의 뒤쪽 끝에 있다.
군체의 공동외피는 비교적 단단하고 반투명하고 매끈하다. 10-20개의 개충은 언제나 막혀있는 둥근 계열이고 계열의 가장자리를 따라 줄로 배치되어 있다. 이경계는 길어지고 최종적으로 서로 평행한 긴 두 줄의 계열이 된다. 그 사이에 개충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공동외피가 넓은 면을 차지한다. 개충은 3-3.5mm 정도이고 두께는 1mm보다 얇다. 출수공은 매우 크고 넓으며 아가미주머니를 많이 노출시키고 있다. 왼쪽에 12-13개의 아가미구멍열이 있고 오른쪽에는 13-15개가 있고 아가미구멍은 열당 17개가 있다.
[1]
홍콩, 필리핀 제도, 호주, 빅토리아, 퀸즈랜드,인도네시아, 홍해
제주해
출처
[1]. Rho BJ, Lee JE. 1989. A Systematic Study on the Ascidians from Cheju Island,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5(1): 67-68
[2]. Rho BJ, Lee JE. 1989. A Systematic Study on the Ascidians from Cheju Island,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5(1): 67-68
참고문헌
Boon-Jo Rho & Ji-Eun Lee, 1989. A Systematic Study on the Ascidians from Cheju Island,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5(1): 67-68.
NCBI (Botryllus perspicuum)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