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보리이끼벌레Caberea boryi (Audouin, 1826)
군체는 노란빛이 나는 갈색이다. 가지를 친 기립형이며 부채꼴로 넓게 퍼지지 않아 비교적 작고 연약하다. 개충은 비교적 작으며 이열이 엇갈려 배열한다. 복벽구는 개충 길이의 1/2~3/4 정도를 차지하며 은벽은 넓고 특히 기부가 더 넓다. 개충의 말부 바깥에는 1~2개의 가시가, 안쪽에는 한 개의 가시가 있다. 복개는 상당히 크며 특히 아래 엽이 넓어서 복벽구의 많은 부분을 덮게 된다. 앞 조두체는 큰 것과 작은 것의 2가지 형태이며 나벽에 위치한다. 삼각형의 하악을 가진 작은 조두체는 솟아 있다. 가끔 분기점 바로 아래에 위치한 개충에는 매우 크고 많이 구부러진 상악을 가지고 있으며 작은 조두체보다 더 많이 솟아 있다. 옆 조두체는 상당히 작다. 편상체는 개충 뒷면의 반 정도를 차지하며 강모가 나 있는 홈은 군체 가지의 중심선까지 뻗어진다. 난실은 둥글며 표면이 매끈하고 구멍이 나 있지 않으며 앞면에 가로로 외난실에 의하여 덮여지지 않은 부분이 있다. [2]
서해, 남해, 제주
전세계
참고문헌
[1]. Rho BJ, Song JI, 1980.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Bryozoans in Korea 2. Anascan Cheilostomata. Commemoration Papers for Professor C. W. Kim`s 60th Birthday Anniversary: 147-162.
[2]. Seo JE, Kil HJ, 2019. Bryozoa of Korea Cheilostomat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pp. 1-310.
[3]. Seo JE, Kil HJ, 2019. Bryozoa of Korea Cheilostomat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pp. 1-310.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2 | 2 | 3 | 2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2 | 3 | 3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2 | 2 | ||
NCBI (Caberea boryi)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