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물렁뼈붉은잎Callophyllis cartilaginea H.W.Lee & M.S.Kim, 2014
본 종(Callophyllis cartilaginea)에 대한 산업적 유용성에 대한 본 종의 정보는 아직 없다. 같은 속내의 종 Callophyllis joponica의 경우 돼지 유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Jung et al. 2009). 또한,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간 보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Park et al. 2005)
식물체는 연골질로 직립하고 암적색 또는 적갈색이며 암반에 단독 또는 모여 자란다. 부착기는 작은 반상이고, 짧고 편압된 줄기로부터 좁고 납작한 선형의 가지를 내며, 이 가지는 차상 또는 삼차상으로 수회 분지하여 좁은 부채모양으로 펼쳐진다. 가지는 대개 전연이나 작은 가시 모양의 돌기를 형성하기도 하고, 끝은 절두이다. 높이 5~7cm, 가지의 폭 1~2mm이다. 외형상 볏붉은잎(Callophyllis japonica)과 유사하나, 좁고 가는 연골질의 엽체와 편압된 짧은 줄기를 갖고, 엽연이 전연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조간대 및 조하대 수심 5~15 m 내외에 생육한다.
본 종(Callophyllis cartilaginea)에 대한 생육 및 생산에 대한 본 종의 정보는 아직 없다. 같은 속내의 종 Callophyllis joponica의 경우 5% CO2 가습 환경을 유지하고 DMEM 내에서 37℃로 유지한 후 10% 열 불활성화 FBS, 100μgmL−1 streptomycin 및 100 U mL−1 페니실린을 보충한 후 배양되었다. (Ryu et al. 2014)
남해안(완도), 제주도(상모, 종달, 우도) [2]
참고문헌
[1].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이형우. (202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32 pp.
[2]. 김명숙, 강정찬, 김병석, 양미연, 이형우. (2022).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32 pp.
[3]. Lee, H.W. & Kim, M.S. (2014). Cryptic species diversity of the red algal genus Callophyllis (Kallymeniaceae, Gigartinales) from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7(4): 395-410.
[4]. AlgaeBase: https://www.algaebase.org/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3 | 3 | 2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3 | 3 | 3 | 3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3 | 3 | 3 | 3 | 2 |
NCBI (Callophyllis cartilaginea)
rbcL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