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선고운이끼벌레Callopora lineata (Linnaeus, 1767)
군체는 1겹으로 기층 위를 둥근 패취모양으로 덮으며 자란다. 개충은 긴 타원형이다. 은벽은 매우 좁고 입자가 나 있다. 나벽은 아래에서 많이 발달해 있고 개충 길이의 1/3 정도 된다. 은벽의 가장자리에는 5~7쌍의 가시가 복벽구를 둘러싸고 있으며, 가시는 중앙을 향하여 굽어지므로 중앙에서 좌우의 가시가 겹쳐지기도 한다. 제일 위쪽에 위치한 1~2쌍의 가시는 곧추서 있다. 조두체는 나벽에 위치하며 끝이 뾰족한 삼각형의 하악은 아래를 향한다. 난실이 있는 개충에서는 조두체가 모 개충의 난실 위에 얹혀 있는 것처럼 보이며 이때 하악은 위를 향하고 있다. 난실은 둥글고 매끈하며 충실구개로써 닫히지 않는다. [2]
다른 태형동물(종이끼벌레류)을 덮고 자란다.
서해
일본, 태평양, 대서양, 북극해
참고문헌
[1]. Rho BJ, Seo JE, 1990.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Bryozoans in Korea 7. Suborder Anasca. The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6(1): 145-160.
[2]. Seo JE, 2010. Bryozoa: Gymnolaemata: Cheilostomata: Inovicellata, Malacostega, Flustrina, Ascophora. Bryozoans. Invertebrate Fauna of Korea, 29, 1-149.
[3]. Seo JE, 2010. Bryozoa: Gymnolaemata: Cheilostomata: Inovicellata, Malacostega, Flustrina, Ascophora. Bryozoans. Invertebrate Fauna of Korea, 29, 1-149.
NCBI (Callopora lineat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