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2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염생식물인 갯끈풀과 갯메꽃 추출물의 HaCaT 세포에서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 As aging progress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reduces skin moisturization and collapses skin barrier func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skin moisturizing and skin barrier function enhancement by extracts from halophytes using HaCaT cells. Spartina anglica (S. anglica; SAE) and Calystegia soldanella (C. soldanella; CSE), a kind of halophytes, were collected from Dongmak beach in Incheon, and extracted with 70% ethanol. At the first, we evaluated the cytotoxicity of extracts in HaCaT cell using WST-8 Kit. As a result, the other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concentration at which the cell viability was 90% or more. SAE and CSE showed hig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rough ABTS assay. Expression levels of genes related to skin moisturizing and skin barrier functions, were analyzed by real-time qPCR.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aquaporin 3, hyaluronan synthase 2, and transglutaminase 1 was increased by SAE treatment but not changed by CSE. Activation of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and p38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was induced by SA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E can be used as functional materials for cosmetics for skin moisturizing and barrier function enhancement 하유나,정재우,이원휘,오준혁,김연정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상세보기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Halophytes Halophytes are expected to possess abundant secondary metabolites an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because of habitat in extreme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collected 14 halophytes (Asparagus oligoclonos, Calystegia soldanella, Carex pumila, Chenopodium glaucum, Elymus mollis, Glehnia littoralis, Limonium tetragonum, Messerschmidia sibirica, Rosa rugosa, Salsola komarovii, Spergularia marina, Suaeda glauca, Suaeda maritima, and Vitex rotundifolia) native to Korea and compared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R. rugosa (27.28%) and L. tetragonum (13.17%)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12 halophytes and L. tetragonum, R. rugosa, and M. sibirica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other 11 halophytes, as determined by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A. oligoclonos, E. mollis, and C. pumila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an the other 11, as determined by NO (Nitric oxide) and $PGE_2$ (Prostaglandin$E_2$ ) levels. In contrast, these three extracts had normal and low total polyphenol contents among the 14 halophytes. Consequent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14 studied halophytes appeared to be related to antioxidant, but not anti-inflammatory activity levels.Lee, Jeong Min,Yim, Mi-Jin,Lee, Dae-Sung,Lee, Myeong Seok,Park, Yun Gyeong,Jeon, Jae Hyuk,Choi, Grace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상세보기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본 연구는 한반도산 염생식물 분포를 밝히기 위해 해안 염습지와 사구 95지역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남한의 해안과 섬지역 등에서 21과 44속 57종 4변종 1품종 등 62 염생식물이 기록되었다. 이 중 33분류군은 사구에 자라며, 나머지 29분류군은 염습지에 자라는 식물이다. 61지역이 조사된 서해안에는 58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이들 중 염습지에서는 나문재, 칠면초, 갈대, 갯잔디, 천일사초가, 사구에서는 수송나물, 갯완두, 갯길경, 갯메꽃이 많이 발견되었다. 한편 15지역이 조사된 남해안에는 서해안 보다 적은 45분류군이 분포하였다. 13지역이 조사된 동해안에는 44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흔히 발견된 식물은 수송나물, 갯완두, 갯메꽃으로 모두 사구식물이다. 해란초는 한반도에서는 동해안에서만 조사되었다. 6 지역이 조사된 제주도에는 30분류군이 분포하였다. 해녀콩은 국내에서는 제주도에서만 발견되었다. 한국산 염생식물 중 약 절반은 12종의 명아주과, 12종의 벼과, 7종의 국화과 등 3과에 속하였다. 심현보,조원범,최병희 한국식물분류학회 상세보기 우리나라 해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해안 식생의 식생 구조에 대하여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102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M 학파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국내 해안에 발생하는 식물 군집 구분은 총 11개의 군락으로 순비기나무-돌가시나무 군락, 갯메꽃 군락, 통보리사초-갯그령 군락, 갯잔디 군락, 해홍나물 군락, 방석나물 군락, 나문재-가는갯는쟁이군락, 칠면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 갈대 군락, 산조풀 군락이 구분되었다. 각 군락 들은 발생지역과 환경에서 다양성을 보였다. 식생 자료에 대한 주성분분석 (PCA) 결과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결과를 지지하였다. 이용호,오영주,이욱재,나채선,김건옥,홍선희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갯메꽃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암전이 억제 효과 갯메꽃은 해안 사구에 분포하며 식물로 높은 환경 적응력을 가지고 있으며 갯메꽃은 항산화, 해열, 살균, 이뇨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일종인 MMP-2와 MMP-9의 활성에 대한 갯메꽃의 억제효과를 methylene chloride (MC) 및 methanol (MeOH) 추출물과 조추출물, 유기용매 분획물을 시료로 하여 인체 섬유육종 HT-1080 세포를 이용하여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gelatin zymography, Wound healing assay, RT-PCR, western blot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갯메꽃의 MC 및 MeOH 추출물, 조추출물과 4가지 유기용매 분획물이 HT-1080 세포에서 MMP-2와 MMP-9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n-hexane, 85% aq.MeOH 분획물이 전반적으로 MMP-2와 MMP-9에 대한 높은 억제활성을 보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85% aq.MeOH과 n-hexane 분획물에 MMP 억제 활성이 높은 물질이 존재할 것으로 추측되어지며, 갯메꽃 추출물 및 분획물이 암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적인 항암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팀은 85% aq.MeOH과 n-hexane 분획물에 있는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손재민,김준세,김호준,서영완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3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갯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증진용 조성물 102018009356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02017009903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원문정보 베타2 활성을 촉진하는 천식 치료용 약용식물 추출물 1020070009392 주식회사 뉴젝스 원문정보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건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Calystegia soldanella 갯메꽃 항산화 식품원료 등록 식품원료 등록 (땅속줄기, 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