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붉벤자리Caprodon schlegelii (Günther, 1859)
몸은 타원형으로 측편하며, 꼬리 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직선이거나 볼록하다. 체고는 높고 머리는 비교적 큰편이다, 입은 크고 위턱의 뒤끝은 눈의 중앙 아래까지 도달한다. 양 턱에 융털모양의 이빨이 있으며, 아래턱 옆쪽으로 수 개의 송곳니가 있다. 체색은 수컷은 선명한 선홍색으로 배쪽은 연한 황색을 띄고 눈을 중심으로 여러줄의 노란 띠가 존재한다. 등지느러미 극조 기저부에는 흑색 반점이 존재한다. 암컷은 황적색을 띄고 등부분에 3~4개의 암갈색 반점이 존재한다. 수컷은 35cm까지 자라며 암컷은 25cm까지 자란다. 바닥이 조개껍질이 섞인 모래질이나 암초지대에 주로 서식한다.
[1]
꽃돔
[1]
수심이 얕은 곳과 약간 깊은 곳의 바위 지역에 서식한다.
[2]
몸과 머리는 측편되었고 타원형이다. 머리는 크고 눈은 머리의 중앙보다 약간 위에 있다. 주둥이는 짧지만 뾰족하고, 아가미뚜껑의 뒤 가장자리에는 3개의 가시가 있다. 측선공비늘 수는 57∼61개, 새파 수는 8∼10+21∼23개이다. 수컷과 암컷의 무늬가 약간 다른 데, 수컷은 등지느러미 극조부의 제7∼10연조 사이에, 암컷은 등과 등지느러미에 3∼4개의 불규칙한 암갈색 무늬가 있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적황색을 띠고, 수컷은 노란빛이 강하다. 전장 약 40 cm.
[3]
북서태평양:일본, 중국, 대만
[1]
남해, 제주도
[1]
출처
[1].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3].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4].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5].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6].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참고문헌
1. 한국어류대도감 (김 등, 2005)
2.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국립수산과학원)
3. www.fishbase.org
NCBI (Caprodon schlegelii)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