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분홍꼼치

분홍꼼치Careproctus rastrinus Gilbert & Burke, 1912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Scorpaeniformes쏨뱅이목 > Liparidae꼼치과 > Careproctus분홍꼼치속 >
  • 종설명(Description)

    •   체고는 뒷지느러미 기부에서 가장 높고 몸은 옆으로 편평하다. 눈은 타원형으로 등쪽이 일직선 형태를 나타낸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위턱의 뒤끝은 눈 앞 가장자리를 지난다. 양턱에는 바늘 모양의 이빨이 여러줄로 나있고 입천정부에는 이빨이 없다. 새공 아래 부분은 가슴지느러미 기저부의 위쪽보다 조금 아래쪽에 위치한다. 가슴 지느러미 위쪽 연조 끝은 실처럼 길지 않으며 배쪽 가장자리에는 1개의 결각이 나타난다. 최대 체장 33cm까지 자란다. 몸과 모든 지느러미는 밝은 분홍색을 띤다. 수심 130~220m 정도의 펄 바닥에 서식한다.

    •   수심 130∼210m 깊이에 서식한다.
      [1]

    •   몸은 측편되었고, 체고는 뒷지느러미 기점에서 가장 높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으로 돌출되었고, 위턱의 뒤끝은 눈 앞 가장자리를 지난다. 양턱에는 비늘 모양의 이가 여러 줄 나 있고, 입천장에는 이가 없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기저는 길고 배지느러미는 흡반으로 변형되었다. 몸 색깔은 분홍색이고 특별한 무늬가 없다. 전장 약 42 cm.
      [2]

    •   일본북부에서 오호츠크해, 배링해

    •   동해

    •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3].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1. 원양어류도감.

      2. (2)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yeno and T. Yoshino,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Vol. 1.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437 p.

      3. (3) JAMES WILDER ORR1, YOSHIAKI KAI2 & TETSUJI NAKABO (2015) Snailfishes of the Careproctus rastrinus complex (Liparidae): redescriptions of seven species in the North Pacific Ocean region,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the Beaufort Sea. Zootaxa 4018 (3): 301–348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산 꼼치과 어류의 분자계통 및 분류학적 재검토 쏨뱅이아목 (Scorpaenoidei) 어류에 속하는 꼼치과 (Liparidae) 어류는 형태적으로 유사하고 오동정 가능성이 크며 체색과 몸의 상대적인 크기 변이가 심하여 분류학적으로도 상당히 혼란스러운 분류군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꼼치과 어류의 자원변동을 이해하고 자원관리를 위해 국내 보고된 3속 10종을 대상으로 분자계통 및 분류학적 재검토를 수행하였다. 미토콘드리아DNA COI 영역과 핵DNA RAG2 영역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분자계통 분석 결과, 물미거지가 분홍꼼치와 가깝게 유집되는 mtCOI 계통 결과를 제외하면 3속 (분홍꼼치속, 물미거지속, 꼼치속)이 대등한 단계통성을 나타내었다. Gilbert and Burke (1912)는 L. ochotensis와 구분되는 한국산 미거지를 L. ingens로 신종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한국산 미거지는 일본산 및 러시아산 L. ochotensis와 형태 및 분자에서 잘 일치하였으므로 한국산 미거지의 학명을 L. ingens에서 L. ochotensis로 변경한다. 송영선,반태우,김진구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22건, 1/2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417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분홍꼼치
      Careproctus rastrinus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2011-12-06
      MABIK PI0000420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분홍꼼치
      Careproctus rastrinus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2011-12-05
      MABIK PI0001122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분홍꼼치
      Careproctus rastrinus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2012-10-16
      MABIK PI0001123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분홍꼼치
      Careproctus rastrinus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2012-10-17
      MABIK PI0001124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분홍꼼치
      Careproctus rastrinus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2012-10-18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