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미끈이이끼벌레Catenicella elegans Busk, 1852
군체는 베이지색이다. 기립형이며 길이는 20 mm이고 매우 연약하다. 군체는 가지를 치고 각 가지는 관절을 가지며 각 절간은 1~2개의 개충으로 되어 있고 1개의 개충을 가진 절간은 길다. 개충은 기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말부는 관절 때문에 완전하지는 않지만 비교적 똑바르다. 앞면은 매끈하고 1쌍의 뚜렷한 길고 좁은 구멍방이 옆으로 치우쳐 위치하며 구멍방은 8~10개의 구멍을 가진다. 구개는 반원형이며 구개의 아래쪽 입술은 오목하다. 난실을 가진 절간은 2개의 개충으로 구성되어 있고 개충의 말부 옆 모퉁이는 각각 조두체가 뻗어 있다. 난실은 1~2개의 중심구멍을 가지며 양쪽에 구멍이 산재한다.
[1]
제주도에서는 수심 5~30m 범위에 많으나 더 깊은 수심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암벽의 빈공 간에 우선적으로 달라붙는 등 기회성이 강하다.
[2]
군체는 기립형이며, 길이 20mm 정도이고 매우 연약하다. 군체는 가지를 치고 가지는 관절을 가지며 각 절간은 1~2개의 개충으로 되어있다. 1개의 개충을 가진 절간은 길며 개충은 기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말부는 비교적 똑바르나 키틴성 관절 때문에 완전하지 않다. 앞면은 매끈하고 1쌍의 뚜렷한 길고 좁은 구멍방이 옆으로 치우쳐 위치하며 구멍방은 8~10개의 구멍을 가진다. 구개는 반원형이며 구개의 아래쪽 가장자리는 오목하다. 난실을 가진 절간은 2개의 개충으로 구성되어 있고, 개충의 말부 옆 모퉁이는 각각 조두체가 뻗어있다.
[2]
전세계
[1]
남해, 제주
[1]
출처
[1]. 해양태형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3]. 해양태형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참고문헌
1. Seo JE, 200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40. Bryozoa.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pp. 1-596 (in Korean).
2. Seo JE, 2010. Bryozoa: Gymnolaemata: Cheilostomata: Inovicellata, Malacostega, Flustrina, Ascophora. Bryozoans. Invertebrate Fauna of Korea, 29, 1-149.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2 | 2 | 3 | 2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2 | 2 | 3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2 | 2 | ||
NCBI (Catenicella elegans)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