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백령긴자루조두체이끼벌레Cauloramphus dicki Min, Seo, Grischenko & Gordon, 2017
보통개충은 서로 인접해 있으며 다섯 눈 모양으로 배열해 있으며 다소 길쭉한 달걀 모양이며 아래쪽 반이 가장 넓다. 개충간에는 홈이 있다. 나벽은 옆에서는 매우 좁거나 앞에서는 잘 보이지 않으며 아래쪽에서는 약간 발달해 있거나 전혀 그렇지 않다. 나벽의 표면은 매끄럽고 가장자리에 10-16개의 가시가 나 있고 다소 똑바르고 복벽개구를 가로질러 비스듬히 각진다. 위쪽 3-4개의 가시는 더 단단하고 수직이다. 은벽의 안쪽은 가장자리 가시의 기부 사이에 있으며 너비가 좁아지는 위쪽 1/4 부위를 제외하고는 울퉁불퉁하며 그 너비가 같다. 복벽개구는 크고 달걀 모양이다. 조두체는 한 개 또는 쌍이며 앞에서 보면 방추모양, 옆에서 보면 비대칭적 곤봉 모양이다. 난실은 흔적적이며 내부 벽과 한 개의 작은 구멍을 가진 옆으로 휜 작은 구조이며 가시 기부 사이에 1-4개의 짧은 위쪽 갈래를 가진다. 하조간대의 바위 등의 단단한 기질에 부착해 있지만 플라스틱, 조개껍데기와 석회조류(Clathromorphum)에서도 발견된다. 우리나라 외에는 일본에서만 보고되어 있다.
[1]
일본
[1]
서해
[1]
출처
[1]. 해양태형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태형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참고문헌
1. Min BS, Seo JI, Grischenko AV, Gordon DP, 2017. Intertidal Bryozoa from Korea—new additions to the fauna and a new genus of Bitectiporidae (Cheilostomata) from Baengnyeong Island, Yellow Sea. Zootaxa 4226 (4): 451–470.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3 | 3 | 3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1 | 3 | 1 | 3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3 | 3 | 3 | 3 | 1 |
NCBI (Cauloramphus dicki)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