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포로시씨마이끼벌레Celleporina porosissima Harmer, 1957
군체는 베이지색이며 기층 위를 덮으며 자란다. 개충은 형태는 명확하지 않고, 표벽은 매끈하다. 일차 충실구는 개충의 끝 부분에 위치한다. 충실구부는 충실구의 양쪽에 길고 강한 기둥을 가지며 그 끝에 조두체를 가지나 점점 석회질화 되면서 파묻힌 모습이 된다. 충실구조두체는 작고 양쪽의 것이 거의 수평적이다. 어떤 개충은 충실구가 구멍이 그물처럼 뚫린부위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되며 때때로 위쪽이 더 발달하게 된다. 개충간 조두체는 크며 아주 드물게 나타나고 상악은 길게 확장되어 있다. 난실은 반원형이며 앞면에는 커다란 구멍이 나 있고 아래에 반달이나 초승달 모양의 부위가 있다. [2]
암반, 패각, 해조 줄기와 다른 태형동물을 덮으며 자라며, 배 밑바닥, 어망과 어구 등의 인공구조물에서도 발견되는 오손태형동물이다.
동해, 남해, 서해, 제주
일본, 인도네시아
참고문헌
[1]. Rho BJ, Lee KH, 1980. The marine invertebrate fauna in the Gogunsan Island and Bian Island. The Report of the KACN, (18): 115-124.
[2]. Seo JE, 2010. Bryozoa: Gymnolaemata: Cheilostomata: Inovicellata, Malacostega, Flustrina, Ascophora. Bryozoans. Invertebrate Fauna of Korea, 29, 1-149.
Seo JE, Kil HJ, 2019. Bryozoa of Korea Cheilostomat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pp. 1-310.
[3]. Seo JE, 2010. Bryozoa: Gymnolaemata: Cheilostomata: Inovicellata, Malacostega, Flustrina, Ascophora. Bryozoans. Invertebrate Fauna of Korea, 29, 1-149.
Seo JE, Kil HJ, 2019. Bryozoa of Korea Cheilostomat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pp. 1-310.
NCBI (Celleporina porosissima)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