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특허정보
검색결과 1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대청가시풀 판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102024000046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원문정보
-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가시풀Centroceras gasparrinii (Meneghini) Kützing, 1849
엽상체는 단열의 사상체로, 여러 개체들이 뭉쳐서나며, 진홍색이고, 체장은 7cm 정도로 자란다. 사상형의 가근으로 암반 혹은 다른 해조류에 부착한다. 가지는 차상, 혹은 삼차상으로 동일 평면상에서 분지하며, 가지의 끝 부분은 만곡하여 고리모양이 되고, 가시세포들이 촘촘하게 난다. 주축과 가지의 마디마다, 무색의 가시가 윤생한다. 직립지는 원통형이고, 폭은 50~60μm이며, 12~14개의 주심세포가 있다. 표면의 피층세포는 직사각형 혹은 타원형으로 종축을 따라 일열로 배열한다. 사분포자낭은 주심세포에서 발달하여, 가지 상부의 마디 부위에 윤생하며, 구형 혹은 타원형으로 크기는 폭이 40~44μm, 길이는 48~50μm이다. 방추형으로 분열한다. 배우체들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간대에서 조하대에 암반 혹은 다른 해조류에 착생하여 자라며, 전 계절에 걸처 출현하고, 제주도, 서해안 남부, 남해안, 동해안 및 울릉도와 독도에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 이전에는 Centroceras clavulatum (C.Agardh) Montagne로 알려진 종이다.
암반 혹은 다른 해조류에 착생한다.
[1]
식물체는 암적색이며, 크기는 5 cm이고, 가지는 양갈래 또는 세갈래로 분지한다. 정단부는 흔히 안으로 강하게 말려 고리 모양을 이룬다. 가시는 뚜렷하며, 마디 부위에 돌려나는 것이 특징이다.
[1]
전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
거문도, 거제도, 남해도, 부산, 여수, 연화도, 완도
[1]
한천 자원으로 이용 가능
출처
[1]. 유용한 남해의 바닷말
[2]. 유용한 남해의 바닷말
참고문헌
부성민, 고용덕 2012. 한국의 해양식물. 정행사, 서울. p 233.
김형섭 2012. 한국의 조류, 제 4권 6호 해산 홍조류 (홍조식물문: 진정홍조강: 비단풀목: 비단풀과 II (피층성), 다홍풀과).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pp.195. Meneghini, G. 1844. Del genre Ceramium e di alcune sue specie. Giornales Botanico Italiano Anno 1 Tomo 1: 178-186. Kützing, F.T. (1849). Species algarum. pp. [i]-vi, [1]-922. Lipsiae [Leipzig]: F.A. Brockhaus.
Boo, S.M. & Lee, I.K. 1985. Two Korean species of Centroceras Kützing (Ceramiaceae, Rhodophyta). Korean J. Bot. 28: 297-304. Won, B.Y. 2010. Characterization of Centroceras gasparrinii (Ceramiaceae, Rhodophyta) known as Centroceras clavulatum in Korea. Algae 25(2): 71-76.
Oh et al. 1990. Algae
NCBI (Centroceras gasparrinii)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특허정보
검색결과 1건
제목 | 등록/출원번호 | 출원인 | 원문정보 |
---|---|---|---|
대청가시풀 판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1020240000461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장) | 원문정보 |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