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단박

단박Campylaephora boydenii (E.S.Gepp) Barros-Barreto & Maggs 2023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Ceramiales비단풀목 > Ceramiaceae비단풀과 > Campylaephora석묵속 >
  • 종설명(Description)

    •   이 식물체는 비단풀목 비단풀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서 엽상체는 옅은 붉은색 혹은 장미색을 띄며 아름답고, 주축세포는 긴 원통형이다. 엽체 전면이 피층세포로 피복되어 있고 주심세포 또는 피층세포로부터 가근이 발달하여 기질에 부착하여 생장한다.정단부는 고리모양을 이루고 차상으로 분지한 서로 다른 크기의 정단가닥이 동일평면상에 배열하면서 가시사 형성되지 않는다. 주심세포는 6-7개이며, 주축 세포의 상부에서 호생으로 사면 분열을 하여 형성된다. 피층은 각 주심에서의 종단분열로 형성되며, 주축세포의 상부에서 아까지 형성된다. 배우체는 자웅이주이다. 정자낭은 엽상체의 상단 가지의 안쪽과 바깥쪽의 피층마다에서 하얀 솜처럼 윤생으로 형성된다. 자성배우체의 태원열은 4개의 세포로 이루어진다. 낭과는 작은 가지에 생기며, 자루가 없고, 구형으로 직경이 300-350µm이며, 5-7개의 작은 부정지로 포위되어 있다. 사분포자체는 배우체와 동형이다. 사분포자낭은 엽상체의 윗부분의 가지의 피층마디의 주심세포에서 형성되며, 초기에는 배축면에만 생기나 노성하며 윤생한다. 사분포자낭은 크기가 50-60µm x 60-80µm이며, 삼각추형으로 분열한다. [1]

    •   식물체는 밝은 홍색이고 20~30cm 크기로 다른 해조류에 방석모양으로 엉켜 자란다. 엽상체는 단열 사상체로 직립하며, 불규칙하게 양 갈래로 분지한다. 사상체의 구조이나, 서로 엉켜서, 큰 덩어리를 이룬다. 가근은 주축세포 혹은 주심세포에서 형성되며, 2-3 세포들로 이루어진다. 체장은 15-30cm이고, 주축은 규칙적인 차상 혹은 아차상으로 분지한다. 정단부는 안쪽으로 구부러지고, 상부 배출면 피층세포들은 매끈하개 배열한다. 주축세포는 상부에서 2번째 가지 윗부분에 횡타원체 모양을 지니고 있으며 하부의 노성한 부위는 중앙부가 함축된 원통형을 가지며, 각 세포는 상부 어깨 윗부분에서 사면분열하여 8개의 주심세포를 형성한다. 측지는 정단세포의 분열에 의해 발달하며 아차상으로 형성되면서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고, 중부에서 하부 부분에서는 Y자 형태의 넓은 분지각을 갖는 차상지로 발달하면서 분지한다. 부정지의 경우 노성한 개체 또는 생식시기의 개체들에서 다수 발달하고, 짧은 가시 모양으로 끝이 휘어진 형태를 갖는다. 부정지는 주심세포로부터 가지 축의 배축면을 따라 나거나 모든 방향으로 나기도 한다. 주축의 직경은 1-1.5mm이고 피층으로 완전히 덮혀있다. 정단부는 흔히 안으로 말려 고리 모양을 이루며, 양 갈래로 분지한 서로 다른 크기의 2가닥이 겸자 모양을 동일 평면상에 배열한다. 주심세포는 윤생하며 주로 8개로 이루어져 있고 횡단면은 구형 종단면은 삼각형으로 관찰된다. 각각의 주심세포는 5개의 피층 시원세포를 형성하고, 먼저 형성되는 2개의 피층 시원세포는 주심세포의 위쪽에서 사면분열하여 형성되고, 후에 아래로 2개가 형성된 뒤 마지막 시원세포는 주심세포 표면 방향으로 형성된다. 피층은 1층의 내피층과 2-3층의 외피층으로 구성되고, 내피층 세포는 길게 신장된 형태이고 외피층 세포는 각진 구형이거나 구형을 나타낸다. 선세포는 뚜렷하지 않다. (Kim et al., 2017a) [3]

    •   조간대 하부의 모자반 등 다른 해조류에 착생하며 20~30 cm 크기로 엉켜 자란다. 봄에서 여름철까지 출현한다.[2] 우리나라 남해안과 서해안 조간대에서 흔하게 채집되는 종이나, 동해안 북부 파도에 떠밀려온 해조류 등에 엉킨 상태로 채집되기도 한다.

    •   전해역

    •   일본, 중국

    •   한천 원료로 주로 이용

    • 참고문헌

      [1]. 유용한 남해의 바닷말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1. Oh et al. 1990. Algae 1. 강제원. 1968. 한국동식물도감. 제 8권 식물편 (해조류). 문교부, 서울, pp. 464
      2. 김형섭. 2012. 한국의 조류, 제 4권 6호 해산 홍조류 (홍조식물문: 진정홍조강: 비단풀목: 비단풀과 II (피층성), 다홍폴과).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pp. 195.
      3. Gepp, E.S. 1904. Chinese marine algae. Journal of Botany, London 42: 161-166.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22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2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특허정보

        검색결과 4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3-0090078 강창구 | (주)대한하이텍건설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4-0015545 (주)대한하이텍건설 | 강창구 원문정보
        PPAR의 작용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PPARγ 작용제, PPARα 작용제, PPAR의 작용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건강식품 및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08-0091651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1020140085071 대진건설(주)|강창구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84건, 1/5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113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단박
      Campylaephora boydenii
      대한민국 2010-08-25
      MABIK AL0000335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단박
      Campylaephora boydenii
      대한민국 2010-11-06
      MABIK AL0000335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단박
      Campylaephora boydenii
      대한민국 2010-11-06
      MABIK AL0000335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단박
      Campylaephora boydenii
      대한민국 2010-11-06
      MABIK AL000033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단박
      Campylaephora boydenii
      대한민국 2010-11-06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