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6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비단풀 분획물의 항산화 및 AMPK 인산화를 통한 지방분화 억제활성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lipogenesis activities of Ceramium kondoi ethanol extract (CKEE) on 3T3-L1 cells during their differentiation from preadipocytes to adipocytes by measuring lipogenesis factors. Total phenol content of CKEE and each fraction were 221.54~295.12 mg/g, respectively, and flavonoids were 30.87~201.51 mg/g,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 CKEE ethyl acetate fr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CKEE as assess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nd reducing-power ability. Treatment with CKEE ethyl acetate fraction reduced the lipid content in Oil-red O staining and triglyceride accumulation. Following stimulation with an adipogenic inducer cocktail (insulin, dexamethasone, IBMX) p-AMPK protein was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Moreover, treatment with 3 μM compound C led to p-AMPK protein rescue.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suggest that CKEE has an anti-oxidant and anti-lipogenic effect in 3T3-L1 cells. 김민정,이자복 대한미용학회 상세보기 추출용매에 따른 비단풀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비단풀의 이용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추출용매에 따른 효율적인 추출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물, 에탄올, 메탄올 세 가지 용매별로 환류냉각 추출한 건조 비단풀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율은 메탄올,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이 각각 21.88%, 21.09% 및 20.63% 순으로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g당 각각 273.25 mg/g, 20.05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에탄올 추출물이 8.42 mg/g으로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환원력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비단풀 추출물의 다양한 생리활성 검z증을 위하여 효소실험을 실시하였으며 HMG-CoA 저해활성의 경우,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물 추출물이 조금 더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 및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의 경우 비단풀 메탄올 추출물이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비단풀 메탄올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향후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권유리,이현령,황소현,권오준,윤광섭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상세보기 비단풀 에탄올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및 항산화 효과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s of Ceramium kondoi extracts. Ceramium kondoi was extracted with 100% ethanol. The anti-oxidative and whitening effects of extracts were determined by in vitro assays us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method and inhibitory effects of the Ceramium kondoi extract against collagenase and tyrosinase in B16F10 melanoma cells. The results have been revealed that Ceramium kondoi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cell. Furthermor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elanogenic enzymes in B16F10 cells. Additionally, Ceramium kondoi inhibited the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induced. Also, Ceramium kondoi showed high efficacy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ollgenase activity. In conclusion, it was indicated that Ceramium kondoi could be utilized as whitening cosmetic ingredients. 박설아,고경숙,우원홍,문연자 한국미용학회 상세보기 비단풀 추출물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Euphorbia humifusa ethanol-extra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the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250, 500, 1,000 or 2,000 mg/L on food poisoning microorganism were determined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microorganisms growth was not affected by the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up to 250 mg/L, but was significantly (p 최무영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상세보기 비단풀 물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항암활성 비단풀 물 추출물을 제조하여 DMSO 용매에 녹인 후 항산화활성과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을 10, 100, 250, 500, $1,000{mu}/mL$ 의 농도에서 측정하였을 때, 총 페놀함량,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은 각각 농도에 의존하여 결과값이 향상되었으며,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659.2{mu}M$ , 86.0%, 1.084의 수치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comet assay에서는 비단풀을 5, 10, 25, $50{mu}g/mL$ 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한 후 hydrogen peroxide $200{mu}M$ 의 농도로 처리하여 DNA손상을 유도한 결과 손상된 DNA tail 부분의 DNA 함량을 측정한 % fluorescence in tail이 각각 62.3, 39.8, 24.8, 16.4%로 83.0%인 $H_2O_2$ 처리 양성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항암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MTT reduction assay 방법에서는 추출물을 처 리 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단풀 물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비교시 대장암 유래의 암세포주 HT-29에서는 $10{mu}g/mL$ 농도에서 49%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유방암 유래의 암세포주 MCF-7에서 역시 $10{mu}g/mL$ 농도에서 130%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현재 한약재를 비롯한 농산물 유래의 추출물이 항산화효과와 항암효과를 보이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비단풀도 하나의 천연물 소재로 생리활성물질 탐색에 중요한 천연자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덕호,조석자,정은실,이현진,황지환,박은주,박해룡,이승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6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4-0015545 (주)대한하이텍건설 | 강창구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3-0090078 강창구 | (주)대한하이텍건설 원문정보 비단풀 락토바실러스 발효수를 이용한 화장료조성물 제조방법 1020200083203 김부진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1020140085071 대진건설(주)|강창구 원문정보 항암성분인 베타글루칸을 배 내에 생성시키는 농업기술로써 배를 효소로 만들어 귀리, 강황, 와송, 비단풀과 버섯종류인 영지버섯, 운지버섯, 상황버섯, 표고버섯 등을 혼합효소로 본 농원에서 사용된 농업기술이다. 1020150154189 정종흥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