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별망둑

별망둑Chaenogobius gulosus (Sauvage, 1882)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ctinopterygii조기강 > Perciformes농어목 > Gobiidae망둑어과 > Chaenogobius별망둑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길이는 약 12cm이다. 몸은 원통형이다. 머리는 매우 종편되었고, 미병부는 측편되었다. 눈은 작고 머리의 등 쪽에 위치하며, 주둥이는 길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둥글다. 몸은 진한 갈색이며 흰 반점들이 있다. 꼬리지느러미 기부에는 기다란 검은 무늬와 뒤 가장자리는 하얀색을 띤다. 조간대의 돌이나 바위지역에 서식한다. 머리는 크고 앞부분이 위아래로 심하게 납작하다. 몸의 앞부분은 두꺼우며 단면이 거의 원통 모양이고 뒤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하다. 눈은 작으며 머리의 등쪽에 치우친다. 주둥이는 길고 그 끝에 열린 입의 찢어진 모양은 크다. 혀는 폭이 넓으며 끝이 조금 패어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고 좌우의 배지느러미는 합쳐져서 흡반을 이루고 있다. 가슴지느러미의 위쪽 기조는 다른 지느러미와 분리되어 있고 물결처럼 구부러져있다. 꼬리지느러미의 끝은 둥글다. 전체적으로 녹갈색을 띠며 검은 암갈색 반점들이 체측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백색 점들이 여러 개의 수직 열을 만들어 반문들의 경계선을 만들어 놓고 있다. 꼬리지느러미가 시작되는 부분에는 큰 검은색 점무늬가 있다.

    •   해안의 바위와 돌 사이에 서식한다.
      [1]

    •   몸은 원통형이며, 머리는 심하게 종편되고 미병부는 측편되었다. 눈은 작고 머리의 등쪽에 있으며 주둥이는 길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바깥쪽으로 둥글다. 몸은 진한 흑갈색으로 검게 보이며, 흰 반점들이 흩어져 있다. 꼬리지느러미 기부에 검은 점이 있고, 가장자리는 밝은 색을 띤다. 전장 약 12 cm.
      [2]

    •   북서태평양, 황해

    •   우리나라 전 연안

    •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3].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Stevenson, D.E., 2002. Systematics and distribution of fishes of the Asian goby genera Chaenogobius and Gymnogobius (Osteichthyes: Perciformes: Gobiidae),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Spec. Divers. 7(3):251-31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서해 태안연안의 어류상 충남 태안 연안의 어류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5월부터 1999년 7월 까지 총 13회의 채집을 실시하였다. 채집방법은 어부들에게 의뢰하거나, 정치망, 낚시, 손그물을 이용하였다. 채집된 표본들은 Nelson(1994)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모두 14목 40과 63속 73종으로 확인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우세하게 출현한 분류군은 조사 지점 1에서 별망둑 (Chasmichthys gulosus)과 점망둑 (Chasmichthys dolihcognathus), 조사지점 2에서 조피불락 (Sebastes schlegeli)과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조사지점 3 에 서 는 민어과 어류 (Sciaenidae), 참서대과 어류 (Cynoglossidae),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 참돔 (Pagrus major), 왜도라치 (Chirolophis wui), 흰베도라치 (Pholis fangi) 등 주로 정착성 유영 어류와 저서어류들이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본 조사해역은 계절에 따른 난류의 영향보다는 연안냉수의 영향을 주로 받기 때문에 난대성 어류가 적게 출현한 것으로 판단되며, 채집된 어류 가운데 농어목 Perciformes이 16과 30속 35종으로 가장 다양하게 출현하였고, 전체 출현종의 47.9%를 점유하였다. 본 조사의 정점 1에서 채집된 둑중개과(Cottidae) 어류 2개체는 미기록종 Porocottus sp.로 기재하였으며, 제1등지느러미 와 제 2등지느러미가 연결되어있고, 측선위에 미세한 비늘이 있는점, 몸 앞부분의 측선 위에 촉수모양의 물기물이 있는 점으로 둑중개과 실횟대속 Porocottus 다른 종들과 잘 구분되었다. 임환철,최윤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49건, 1/30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1155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2012-10-03
      MABIK PI0002123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2011-06-29
      MABIK PI0003157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2013-11-13
      MABIK PI0003157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2013-11-14
      MABIK PI0003349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
      대한민국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2014-07-29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