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넓은사슬풀Champia expansa Yendo, 1903
바다에 사는 홍조식물이다. 엽체는 붉은색 또는 자홍색이고, 살아 있을 때는 푸른빛 형광을 낸다. 편평한 막질이고, 규칙적인 차상 분기를 하여 부채형이고, 양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내부의 가로연결조직이 식물체의 표면에서 가로줄 띠무늬로 나타난다. 길이 6-10cm, 폭 10mm 정도이고, 건조하면 대지에 밀착한다. 조하대 수심 5-10m의 깊은 바다 바위에 부착하여 살며, 연중 관찰된다. 제주도 문섬, 섶섬, 범섬, 울릉도, 독도에 자라며, 세계적으로 일본, 북태평양 서안에 분포한다.
조하대에서 자란다.
[1]
엽체는 붉은색 또는 자홍색이고, 살아 있을 때는 푸른빛 형광을 내며, 편평한 막질이고, 규칙적인 차상 분기를 하여 부채형이고, 양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내부의 가로연결조직이 식물체의 표면에서 가로줄 띠무늬로 나타난다. 길이 6-10cm, 폭 10mm 정도이고, 건조하면 대지에 밀착한다.
조하대 수심 5-10m의 바위
일본, 북태평양 서안
제주도 문섬, 섶섬, 범섬, 울릉도, 독도
특별한 용도가 알려진 바 없음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참고문헌
1. 강제원. 1962. 한국산 해조류의 국명. 부산대학교 수산대학연구보고 4: 69-81.
2. 강제원. 1968. 한국식물도감. 제8권 식물편 (해조류). 문교부. 서울. 465 pp.
3.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 서울. 477 pp.
4. Yendo, K. 1903. Three new marine algae from Japan. Botanical Magazine, Tokyo 17: 99-104.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1 | 2 | 3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2 | 1 | 1 | 2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1 | 1 | 2 |
NCBI (Champia expans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