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대게

대게Chionoecetes opilio (O. Fabricius, 1788)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Decapoda십각목 > Pleocyemata범배아목 > Brachyura게하목 > Oregoniidae긴집게발게과 > Oregoniinae > Chionoecetes대게속 > Chionoecetes opilio대게 >
  • 종설명(Description)

    •   전체적으로 형태가 같은 속의 유사종인 홍게와 매우 유사하지만 홍게보다 더 고급 어종으로 대우받는다. 갑각은 그 윤곽이 둥그스름한 삼각형이고 너비가 이마를 포함한 길이보다 약간 더 넓고, 최대 너비는 약 170 mm 정도다. 이마는 끝이 둥그스름한 직각삼각형 모양의 2개의 잎으로 나눠져 있고 사이의 틈은 좁은 V자 모양이다. 갑각의 앞옆가장자리는 입틀까지 연속되어 이어지는데 이 지점에 20개 내외의 작은 가시들이 배열되어 있다. 뒷가장자리는 비교적 곧고 작은 과립들로 덮여 있다. 몸 전체가 진한 주홍빛을 띠는 홍게와는 달리 갑각과 다리의 등면은 구리빛 혹은 밝은 갈색을 띠며 갑각과 다리의 배면은 더 밝은색이다. 갑각 뒷부분이 볼록해지며 뒷가장자리에서 급한 경사를 이루는 홍게와 달리, 갑각 뒷부분은 다소 납작하며 경사가 낮다.
        최대수심 1800 m의 깊은 모래 또는 진흙 바닥에서 서식하고, 산란기는 2~3월이다. 어린 개체와 암컷이 다소 얕은 대륙붕에서 서식하며 수컷은 수심 300 m 이상의 더 깊은 곳에서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1]

    •   동해, 일본 북부 연안 일대, 캄챠카 반도 및 알래스카 등 베링해와 북태평양 연안 일대, 그린란드 연안 일대
      [1]

    •   동해
      [1]

    •   경상남도 포항에서 강원도 속초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동해안 거의 전역에서 홍게와 함께 널리 어획된다. 홍게 보다 더 작은 크기의 개체더라도 높은 가격으로 팔리며, 신선한 대게를 그대로 찌거나 삶아 먹는 것을 제일로 친다. 북한산, 러시아산 등 수입산 대게 물량 역시 많이 유통되며, 금어기 동안에는 수입산 대게가 주로 유통된다. 법령에 따라 포란 및 산란기를 고려해 일반적으로 6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가 금어기이다. 우리나라 동해안 일대 수심 450 ~ 600 m 에서 홍게와의 교잡종인 너도대게가 출현한다고 알려져있다.
      [1]

    • 출처

      [1].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 [2].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 참고문헌

      1. Fabricius, O. (1788). Beskrivelse over den store Gronlandske krabbe. Nye Samling af det Kongelige Danske Videnskabers Selskabs Skrivter, Kongelige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3, 181-190.

      2. Stimpson, W. (1857). Notices of new species of Crustacea of western North America; being an abstract from a paper to b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Society. Proceedings of the Boston Society of Natural History. 6: 84-89.

      3. Streets, T. H. (1870). Notice of some Crustacea of the genus Libinia, with descriptions of four new species.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104-107.

      4. 김원; 김훈수. (2001). 유용게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46-48.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111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111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12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동해안 대게, Chionoecetes opilio의 탈피와 성장 Molting and growth of the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was investigated using samples captured in the East Sea from July 2002 to June 2004. Individuals over 40 mm carapace width (CW) molted once a year from July to October. Annual molt stage of C. opilio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premolt stage, molting stage, postmolt stage and intennolt stage. The relationship between CW and chela height (CH) can be expressed as Y=-82lnCW+73.1129lnCH+166. They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equation, that is, one group having a negative value (below 70 mm in CW) and other group having a positive value (over 130 mm in CW). Carapace width at 50% terminal molt ($CW_{50%}$) of males was estimated to be 105 mm. The Gompertz growth equation estimated from a non-linear method was $CW=118.99e^{-6.296e^{-0.3062t}}$ for females and $CW=156368e^{-6.6619e^{-0.2626t}}$ for males. 전영열,이성일,윤상철,차형기,김종빈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효소분해의 의한 붉은 대게 자숙액의 품질 및 기능성 개선 붉은 대게 가공부산물로 이용도가 낮은 자숙액을 이용하여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맛, 영양 및 건강기능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붉은 대게 자숙액은 일반성분 및 안전성면에서 식품가공소재로 이용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1단 가수분해물의 경우 TCA soluble index(TSI),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을 고려하는 경우 Alcalase로 2.0시간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붉은 대게 자숙액 유래 Alcalase 1단 가수분해물을 기질로 하여 Flavourzyme, Neutrase 및 Protamex로 각각 2시간씩 연속적으로 가수분해시킨 2단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은 1단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유사하거나 약간 우수하여 2단 가수분해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붉은 대게 자숙액에 비하여 이를 Alcalase 처리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일반성분 및 색조는 차이가 없었으나,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와 같은 맛에 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증가하였다. 붉은 대게 유래 Alcalase 처리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함량은 11,859.6 mg/100 mL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10.2%), proline(10.1%) 및 glycine (10.7%) 등이었다. 강경태,허민수,김진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경북 연안에 서식하는 대게(Chionoecetes opilio)의 수심 및 월별 출현 양상 The size distribution, maturation, and molting stages of the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in the coastal sea of Gyeongbuk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its monthly and bathymetric occurrence patterns. C. opilio was collected from three depth strata (A1, 100-120 m; A2, 120-180 m; A3, 180-220 m) from May to November 2020. The average sex ratio was 0.8. The mean carapace width was largest in females in October, and in males in November. The occurrence rate of small immature crabs was the highest in A1. The ratio of ovigerous females at 75-80 mm was highest at A2 and A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apace width in females and depth in both sexes in September and October. The occurrence rate of immature crabs was the highest in A1, whereas that ovigerous and spawned females was higher in A2 and A3 than in A1. Very old-shelled females occurred highly in September and October. The occurrence rate of newly shelled males was higher throughout the study period.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e size distribution, maturation conditions, and molting stages of C. opilio varied with water depth strata in the coastal sea of Gyeongbuk, Korea. 김유진,박원규,이보람,김병섭,박경원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50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대게의 치게 양식방법 2008-0074531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원문정보
        붉은대게 그라탱 및 그 제조방법 1020150035017 주식회사 목양에프원 원문정보
        대게를 이용한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1020120062075 이광훈 원문정보
        대게자숙장 제조방법 1020170125734 씨포스트 주식회사|김정진|김충현 원문정보
        대게 국수 면 제조방법 1020110006080 박진관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55건, 1/3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01013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게
      Chionoecetes opilio
      대한민국 2011-03-01
      MABIK CR0001018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게
      Chionoecetes opilio
      대한민국 2011-05-24
      MABIK CR0001019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게
      Chionoecetes opilio
      대한민국 2011-05-25
      MABIK CR0001019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게
      Chionoecetes opilio
      대한민국 2011-05-21
      MABIK CR000102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게
      Chionoecetes opilio
      대한민국 2011-05-2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