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돌가사리

돌가사리Chondracanthus tenellus (Harvey) Hommersand, 1993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Gigartinales돌가사리목 > Gigartinaceae돌가사리과 > Chondracanthus돌가사리속 >
  • 종설명(Description)

    •   식물체는 자홍색이며 연골질이고, 작은 부착기에서 모여나며, 체장은 8∼12 cm이며 가지는 호생 또는 대생으로 분지하며, 간혹 구부러지며 끝은 뾰족하다. 작은 막대 모양의 세포가 한 겹으로 엽체의 바깥 부분을 이루고 그 안에는 구슬 모양의 세포가 수직으로 열을 지어 5∼6겹으로 피층을 형성한다. 수중에서 형광색을 내며 암수한몸이며 낭과는 혹 모양으로 볼록하며 두 개의 뿔을 가진다. 사분포자낭은 피층 속에 매몰되어 있다.

    •   조간대 하부와 조수웅덩이에서 서식한다.

    •   동해안, 남해안, 제주도

    •   태평양 연안, 일본, 중국, 필리핀

    •   식용, 약재(십이지장궤양, 만성 변비 치료), 산업용(카라기난)

    •   면역증진, 항염증

    • 참고문헌

      [1] 유용한 남해의 바닷말
      [2] 유용한 서해의 바닷말
      [3]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 서울. 477 pp.
      [4] 부성민, 고용덕. 2012. 한국의 해양식물. 국토해양부 해양․극한생물분자유전체 연구단. 233 pp.
      [5] Harvey, W. H. 1860. Characters of new algae, chiefly from Japan and adjacent regions, collected by Charles Wright in the North Pacific Exploring Expedition under Captain James Rodger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4, 327-335.
      [6] Hommersand, MH, M. D. Guiry, S. Fredericq, G. L. Leister. 1993. New perspectives in the taxonomy of the Gigartinaceae (Gigartinales, Rhodophyta).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eaweed Symposium 14, 105-120, 41 figs.
      [7] Park C, Kwon DH, Lee H, Hong SH, Kim G-Y et al. 2021. Immunostimul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Chondracanthus tenellus in RAW 264.7 macrophages in vitro. Asian Pacific Journal of Tropical Biomedicine 11, 263-272.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122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33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rbcL

    염기서열

    •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0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남해안 해남군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및 군집 한국 남해안 해남군에 위치한 무인도의 해조상과 군집조사가 1999년 6월 12일에서 29일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0종, 갈조류 15종 및 흥조류 62종이었다. 우점종은 구멍갈파래와 지충이이며, 준우점종은 바위수염, 패, 톳, 불등풀가사리, 애기돌가사리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에서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 애기가시덤불, 바위수염-참풀가사리, 애기풀가사리, 애기우뭇가사리, 구멍갈파래, 지충이-톳, 뜸부기, 진두발, 미역, 감태가 분포하였다. 오병건,이재완,이해복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Red seaweed extracts reduce methane production by altering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composition in vitro

        A series of in vitro batch culture incubation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i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ethane (CH4) production, and microbial composition in response to supplementation with five different red seaweed species (Amphiroa anceps, AANC; Asparagopsis taxiformis, ATAX; Chondracanthus tenellus, CTEN; Grateloupia elliptica, GELL; and Gracilaria parvispora, GPAR). Prior to the incubations, the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 content of the red seaweed extracts was quantified. The incubated substrate consisted of timothy hay and corn grain [60:40 dry matter (DM) basis]. Treatments were substrate mixtures without seaweed extract (CON) or substrate mixtures supplemented with 0.25 mg/mL of red seaweed extract. Samples were incubated for 6, 12, 24, 36, and 48 h. Each sample was incubated in triplicates in three separate runs. In vitro DM degradability, fermentation parameters (i.e., pH, volatile fatty acids, and ammonia nitrogen), total gas production, and CH4 production were analyzed for all time points. Microbial composition was analyzed using 16S rRNA amplicon sequencing after 24 h of incubation. The highest CH4 reduction (mL/g DM, mL/g digested DM, and % of total gas production) was observed in ATAX (51.3, 50.1, and 51.5%, respectively, compared to CON; P < 0.001) after 12 h of incubation. The other red seaweed extracts reduced the CH4 production (mL/g DM; P < 0.001) in the range of 4.6-35.0% compared to CON after 24 h of incubation. After 24 h of incubation, supplementation with red seaweed extracts tended to increase the molar proportion of propionate (P = 0.057) and decreased the acetate to propionate ratio (P = 0.033) compared to the CON. Abundances of the genus Methanobrevibacter and total methanogens were reduced (P = 0.050 and P = 0.016) by red seaweed extract supplementation. Th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effect size (P < 0.05, LDA ≥ 2.0) showed that UG Succinivibrionaceae, Anaeroplasma, and UG Ruminococcaceae, which are associated with higher propionate production, starch degradation, and amylase activity were relatively more abundant in red seaweed extracts than in the CON. Our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with red seaweed extracts altered the microbiota, leading to the acceleration of propionate production and reduction in CH4 production.

        Choi, Youyoung,Lee, Shin Ja,Kim, Hyun Sang,Eom, Jun Sik,Jo, Seong Uk,Guan, Le Luo,Park, Tansol,Seo, Jakyeom,Lee, Yookyung,Bae, Dongryeoul,Lee, Sung Sill Frontiers Media SA 상세보기
        한국 남해안 가학리의 해조류와 군집구조의 월별변화 한국 남해안 가학리의 해조상과 군집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1993년 9월에서 1994년 8월까지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1종, 갈조류 15종 및 홍조류 61종이었다 해조상 특성은 출현종을 기준으로 혼합성으로 밝혀졌다. 연중 우점종은 불등풀가사리이며, 준우점종으로는 지충이, 구멍갈파래 및 톳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작은구슬산호말, 바위수염, 참풀가사리 (5월$\~$10월), 미끌풀, 지충이-톳, 구멍갈파래, 애기돌가사리, 참까막살이 분포하였다. 오병건,이재완,이해복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미이용해조류의 이용화에 관한 연구 I. 미이용해조류의 성분조성과 조류단백질의 추출 미이용해조류를 주로 한 33종류 41개시료(홍조류 15종 19개시료, 갈조류 14종 18개시료, 녹조류 3종 3개 시료, 해산현화직물 1종 1개시료)의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가용성무질소물, 아미노태질소 및 총 아미노산의 조성을 조사하였고, 이 중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지충이, 지누아리 및 조단백질함량이 낮은 거머리말, 알쏭이모자반의 4종류를 시료로 하여 조류단백질의 추출율과 추출액중의 단백질의 침전조건에 대하여 조사 검토하였다. 1. 일반적으로 홍조류에는 조단백질함량이 높고 조지방함량이 낮은 것이 많은데 비하여 갈조류 및 녹조류에는 조단백질함량이 낮고 조지방함량이 높은 것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2. 조단백질함량과 총아미노산량으로 보아 단백질자원으로서 유용한 조류로는 지충이, 부채꼴아크로소리움, 꿩꼬리, 오카무라서실, 검은서실, 지누아리, 진두발, 불등가사리, 돌가사리, 디크티오타, 고리매 등을 들 수 있고, 반대로 큰디크티오타, 코르다리아, 비틀 대모자반, 알쏭이모자반, 외톨개모자반, 도박, 털도박, 미끌도박, 남작파래, 구명갈파래, 거머리말 등은 그 함량이 극히 낮았다. 5. 분말시료를 물로 추출할 때 8시간 동안에 조체의 총조단백류외 $30~40%$ 추출되었으며, 조체단백질함량의 다과에 따른 추출율의 차는 별로 없었다. 또한 조류단백질의 추출속도는 4시간 동안에 총추출단백질의 3이상이 추출되었다. 4. 추출액중의 단백질침전법으로서는 methanol 처리법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이 가열처리법, TCA 처리법의 순이였으며, pH 조절법이 가장 못하였다. pH 조절법에 있어서는 pH5 부근으로 조절하는 것이 효과저인 경향을 보였다. 5. 추출액중의 단백질의 침전율은 알쏭이모자반의 것이 가장 좋았고 다음이 지누아리. 거머리말의 순이였으며 지충이의 것이 가장 못하였다. 박영호,변재형,오후규,강영중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한국산 미기록 해조 잔가지가시우무 (돌가사리목, 열매가지과) In the course of survey of marine algal flora in Korea, a red algal species was collected from Pohang located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is shares features of Hypnea, and is characterized by more or less percurrent axis and numerous and short branchlets densely covering axis and branches with basal constrictions, and absence of lenticular thickenings in medullary cell walls.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rbcL sequences, this species nests in the same clade as Hypnea esperi. Genetic distance between this Korean entity and H. esperi was in intraspecific range as 0.6%. This alga is identified as Hypnea esperi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This is the first record of H. esperi in Korea. KANG, Pil Joon,NAM, Ki Wan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8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4-0015545 (주)대한하이텍건설 | 강창구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3-0090078 강창구 | (주)대한하이텍건설 원문정보
        해초샐러드 제조방법 2009-0104417 문혜리 원문정보
        해양 소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1020120056914 인타글리오주식회사 원문정보
        돌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인간 피부세포의 세포사멸 억제용 조성물 102012002407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국명생리활성원료등록특징/이용
        Chondracanthus tenellus 돌가사리 항산화 식품원료 등록 화장품원료 등록 식품원료 등록, 화장품원료 등록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65건, 1/73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191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가사리
      Chondracanthus tenellus
      대한민국 2011-02-05
      MABIK AL0000191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가사리
      Chondracanthus tenellus
      대한민국 2011-02-05
      MABIK AL0000191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가사리
      Chondracanthus tenellus
      대한민국 2011-02-05
      MABIK AL0000191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가사리
      Chondracanthus tenellus
      대한민국 2011-02-05
      MABIK AL0000192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돌가사리
      Chondracanthus tenellus
      대한민국 2010-06-2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