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각시개서실

각시개서실Chondria dasyphylla (Woodward) C.Agardh, 1817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2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Ceramiales비단풀목 > Rhodomelaceae빨간검둥이과 > Chondria개서실속 >
  • 종설명(Description)

    •   조간대 하부에서 조하대까지의 암반 위에 생육한다.
      [1]

    •   조체는 5~15cm의 크기로 직립하여 다발을 형성한다. 주지는 원통형이고, 명확하며, 투명하다. 부착기는 원반 모양으로 수 개의 직립하는 가지를 낸다. 가지는 지름 1~2mm로 불규칙하게 호생 분지한다. 소지는 곤봉형 또는 팽이 모양으로, 기부가 잘록하며, 정단부는 뭉툭하거나 함몰되어 있다. 표피세포는 장방형에서 다각형으로 인접 세포 간에 2차 원형질연락을 가진다. 중축세포는 지름 20~50μm로 원통형이고 5개의 주심세포를 낸다. 주심세포는 지름 80~130μm로 타원형이거나 구형이다. 조직은 연골질성이다. 체색은 주로 자홍색이거나 옅은 녹색이다. 건조표본 제작 시 대지에 잘 붙는다.
      [1]

    •   전 세계

    •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 출처

      [1]. CBD-CHM Korea

    • [2]. CBD-CHM Korea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232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32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특허정보

        검색결과 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각시개서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10202101179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61건, 1/13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2140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각시개서실
      Chondria dasyphylla
      대한민국 2011-10-19
      MABIK AL000214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각시개서실
      Chondria dasyphylla
      대한민국 2011-10-19
      MABIK AL0002141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각시개서실
      Chondria dasyphylla
      대한민국 2011-10-19
      MABIK AL0002141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각시개서실
      Chondria dasyphylla
      대한민국 2011-10-19
      MABIK AL0002868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각시개서실
      Chondria dasyphylla
      대한민국 2012-08-02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