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단순가지돌산호Cladopsammia gracilis (Milne Edwards & Haime, 1848)
산호체는 단체형 또는 군체형, 부착형이다. 군체는 주근이 없는 관목형 또는 총생형이고, 공골이 발달한다. 보통 촉수 외 아생하며, 드물게 촉수 내 아생하여 군체를 형성한다. 군체 크기는 너비 10~90 mm, 높이 30~80 mm 이다. 산호협은 원통형이고, 악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직경 2~15 mm, 높이 1.5~75.0 mm 이다. 격벽은 40~114(평균 69)개 이며, 6방사형 4~6환열, 보통 불완전 5환열의 포탈레스 배열이다. 1차 격벽 > 외측 5차 격벽 ≥ 2차 격벽 > 내측 4차 격벽 > 3차 격벽 > 내측 5차 격벽 > 외측 4차 격벽. 1차, 2차 격벽이 직선으로 배열한다. 1차, 2차, 외측 5차 격벽이 축주에 도달한다. 외측 5차 격벽과 내측 5차 격벽이 외측 4차 격벽 앞에서 곡선으로 융합하여 내측 4차 격벽에 도달하고 2차 격벽 방향으로 휜다. 1차 격벽이 인접한 외측 5차 격벽과 융합한다. 외측 협벽 가장자리에서 2차 격벽이 인접한 내측 4차 격벽과 융합한다. 1차, 2차 격벽의 상단이 융기한다. 협벽은 늑조골과 간늑조골로 형성된 연접협벽이다. 늑조골은 과립상 돌기가 열을 지어 발달하고, 간늑조골은 다공성이다. 공골에 늑조골이 발달한다. 축주는 타원형의 해면상이다.
체부는 오렌지색, 촉수는 황색이다. 국내 수심 15~30 m(국외 수심 0~95 m)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해면류, 히드라류, 태형동물류, 이매패류, 굴패각, 석회관 갯지렁이류 서관, 따개비류가 산호체 기부에 부착한다.
제주도
일본, 중국, 호주
참고문헌
[1] Milne Edwards H, Haime J. 1848. Recherches sur les polypiers. Mémoire 3. Monographie des eupsammides. Annales des Sciences Naturelles, Zoologie, Series 3. 10: 65-114, pls. 5-9.
[2] Choi E, Song JI. 2014. Four New Records of Two Genera Balanophyllia and Cladopsammia (Anthozoa: Hexacorallia: Scleractinia: Dendrophylliidae) from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Diversity. 30 (3): 183-190.
NCBI (Cladopsammia gracili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