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미카도곤봉산호Clavularia mikado Utinomi, 1955
군체는 작고 폴립은 원통형이며, 전체적으로 밝은 노란색에서부터 주황색이며, 골편은 황색을 띈다. 주근은 막상으로 뻗지만 일정하지 않다. 군체를 이루는 개충과 혹 모양의 주근은 보통 단단한 골침이 피층으로 되어 있다. 개충은 밀생하고 폴립이 퇴축하는 혹 모양은 높이 1.7~2.8mm로 3.5mm에 달하고, 기저부는 지름이 2.0~3.0mm에 달한다. 더 작은 개충들은 높이 1.0~1.7mm에 달하고, 기저부는 지름이 1.2~2.0mm인 화병을 가진 다. 화두는 완전히 퇴축하고 8개의 산 모양으로 수렴하는 골편 배열을 갖고 벽이 두꺼운 화병을 가진다. 개충의 크기와 모양은 수축 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확장된 상태에서 폴립은 높이 5.3×3.1mm에서 9.5×3.5mm에 달한며, 화두는 높이와 폭이 1.5~1.8mm이다. 개충의 경부 길이는 0.07~0.17㎜, 너비 0.03~0.06㎜ 인 작은 골편들이 가로로 흩어져있다. 촉수는 길이 1㎜에 달하고 양쪽 면에 염주모양의 약 10쌍의 우상체를 가진다. 주근은 화병과 유사한 골침으로 두껍게 덮여 있다.
주로 조하대 수심 5~30m 범위의 암반이나 굴 껍질, 다모류의 석회질 서관, 해면동물, 홍합, 부채산호류의 기저 부위 등에 막상의 주근으로 덮여 붙어산다.
- 국내: 울릉도(물새바위), 전남 완도, 가거도 등
- 해외: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참고문헌
[1]. Utinomi, 1955. On five new stoloniferans from Sagami Bay, collected by his majesty the Emperor of Japan. Japanese Journal of Zoology page(s): 132-135.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1]. Song, J. I., 1995. A systematic study on the Korean Anthozoa. 16. Order Stolonifera. Korean J. Zool., 38: 356-363.
[2]. Song, J. I., 1995. A systematic study on the Korean Anthozoa. 16. Order Stolonifera. Korean J. Zool., 38: 356-363.
[3]. Song, J. I., 1995. A systematic study on the Korean Anthozoa. 16. Order Stolonifera. Korean J. Zool., 38: 356-363.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3 | 3 | 3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1 | 2 | 1 | 3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3 | 3 | 2 | 3 | 3 |
NCBI (Clavularia mikado)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