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방패연잎성게Clypeaster japonicus Döderlein, 1885
각은 둥글고, 약간 오각 모양의 타원형으로 대형이다. 각은 두껍고 강하며 단단하고, 길이가 폭보다 더 길다. 각의 아랫면에서는 위구부 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윗면에서는 정상의 가운데 부위가 불룩하며 높고, 주변부로 경사져 있으며 주변부에서만 약간 얇다. 보대를 이루고 있는 화문부는 길어서 각의 길이의 약 3/4 이하를 차지하고 있고, 각 화문은 정면에 있는 화문을 제외하고는 모두 앞쪽 끝이 닫혀있다. 화문판은 주판과 반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보대는 낮고 오목하며, 간폭부 쪽으로 약간 길게 들어가 있고, 각의 바깥으로 가면서 그 폭이 넓으며, 정상부에서는 보대 구멍 사이에 1개 또는 2개, 각의 바깥쪽 가장자리로 가면서는 6개 또는 7개의 큰 혹이 있다.
온대 해역에 서식하는 종으로 제주도의 조하대 수심 50m까지 모래가 있는 암초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1]
조하대 수심 50m 전후의 암반 및 자갈에서 서식함.
[2]
몸통은 단단하고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짧은 가시들이 덮여 있으며 긴 오각 모양의 타원형으로 대형이다. 등면에는 5방사형의 둥근 꽃잎무늬가 선명하게 형성되어 있고 몸통은 전체적으로 비행접시 모양이며 배면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솟아나 있다.
[3]
일본(동경만, 사가미만, 가고시마만, 오가사와라제도)
[1]
제주
[1]
출처
[1].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3]. 우리바다 우리생물 -마라도,가파도
[4].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5].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6]. 우리바다 우리생물 -마라도,가파도
참고문헌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32권2호 성게류. 신숙, 2010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1 | 2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1 | 2 | 1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2 | 2 | ||
NCBI (Clypeaster japonic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