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등매끈자주새우Crangon cassiope de Man, 1906
최대 갑각 길이는 12 mm 내외이며, 이마뿔은 매우 짧은 편으로 눈자루의 내측 앞가장자리에 미치지 못하고 이나 가시, 과립, 마루가 없이 매끈하다. 갑각 등면의 앞부분 1/5 지점, 위구역 정중선에 위가시가 있다. 간구역의 간가시는 짧은 간마루에서 이어진다. 제1~3배마디는 등면으로 둥근 모양이며, 모든 배마디 전체에 걸쳐 등면에 전혀 마루가 없이 매끈하다. 제6배마디와 꼬리마디의 등면은 홈이 없이 매끈하다. 진흙새우과에 속하는 다른 새우류와 동일하게 제1가슴다리의 집게발은 부동지가 온전하지 못해 subchelate한 모양이다. 몸 전체에는 섬모가 거의 없어 매끈하다.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다른 자주새우속의 유사종과 제6배마디의 배면이 움푹하지 않고 둥글다는 점에서 뚜렷히 구분된다.
동아시아 일대 연안의 모래 및 펄질 기질에서 수심 30 m 내외의 조간대와 조하대에서 주로 발견된다.
[1]
동아시아 일대 연안
[1]
우리나라 서해, 동해 남부 연안 및 남해 연안 일대
[1]
작은 크기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는 자주새우를 잘 소비하지 않지만 일본 및 북태평양 연안에서는 자주새우속의 새우를 다량 어획하여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출처
[1].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2].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참고문헌
1. De Man, J.G. (1906). Diagnoses of five new species of decapod Crustacea and of the hitherto unknown male of Spirontocaris rectirostris (Stimps.) from the Inland Sea of Japan, as also of a new species of Palæmon from Darjeeling, Bengal.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17(7): 400-406.
NCBI (Crangon cassiop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