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마루자주새우

마루자주새우Crangon hakodatei Rathbun, 1902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Decapoda십각목 > Pleocyemata범배아목 > Caridea생이하목 > Crangonidae자주새우과 > Crangon자주새우속 > Crangon hakodatei마루자주새우 >
  • 종설명(Description)

    •   최대 갑각 길이는 20 mm 내외이며, 이마뿔은 짧은 편으로 눈의 각막을 간신히 닿고 이나 가시, 과립, 마루가 없이 매끈하다. 갑각 등면의 앞부분 1/5 지점, 위구역 정중선에 위가시가 있다. 간구역의 간가시는 짧은 간마루에서 이어진다. 제1~3배마디는 등면으로 둥근 모양이며, 제3~5배마디의 등면에 걸쳐 높고 무딘 중앙마루가 뚜렷하다. 제6배마디는 위아래로 납작하며 배면이 움푹 들어가 있고 등면에는 얕은 홈이 있고, 꼬리마디의 등면에도 중앙에 얕은 홈이 있다. 진흙새우과에 속하는 다른 새우류와 동일하게 제1가슴다리의 집게발은 부동지가 온전하지 못해 subchelate한 모양이다. 매우 유사한 근연종인 자주새우와는 제3~5배마디의 등면 중앙 마루, 제6배마디와 꼬리마디 등면의 얕은 홈이 있는 것으로 구분된다.
        몸의 바탕색은 황갈색이며 몸 전체에 짙은 흑갈색 색소포가 퍼져 있어 회갈색을 띤다. 동아시아 일대 연안의 모래 및 펄질 기질에서 수심 250 m 내외의 조하대에서 주로 발견된다.
      [1]

    •   동아시아 일대 연안
      [1]

    •   우리나라 서해, 동해 남부 연안 및 남해 연안 일대
      [1]

    •   작은 크기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는 자주새우를 잘 소비하지 않지만 일본 및 북태평양 연안에서는 자주새우속의 새우를 다량 어획하여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 출처

      [1].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 [2].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 참고문헌

      1. Rathbun, M.J. (1902). Japanese stalk-eyed crustaceans.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26: 23-55.

      2. De Man, J.G. (1906). Diagnoses of five new species of decapod Crustacea and of the hitherto unknown male of Spirontocaris rectirostris (Stimps.) from the Inland Sea of Japan, as also of a new species of Palæmon from Darjeeling, Bengal. The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17(7): 400-406.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5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붕장어 (Conger myriaster)의 식성 Total 158 Conger myriaster were examined and the range of Preanal length (PaL) was 8.2~40.1 cm and average Preanal length was 17.3 cm. Proportion of the empty stomach was 30.4% and individuals, which the prey items were found in stomach, were 110. The most important prey component in the diets of C. myriaster was Pisces that constituted 54.4% in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Engraulis japonicus was the most important prey component in Pisces. Macrura was the second largest prey component and Crangon hakodatei was the most important prey component in Macrura. The result of analysis in ontogenetic changes significantly exhibited among three size classes (<15.0 cm, 15.0~20.0 cm, ≥20.0 cm). The proportion of Macrura decreased as increasing body size, whereas the consumption of Pisces increased gradually. As body size of C. myriaster increased, the mean weight of prey per stomach (mW/ST) increased (one way-ANOVA, P<0.05). 강다연,김도균,성기창,진수연,정재묵,강수경,백근욱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인천 연안에 출현하는 참홍어(Beringraja pulchra)의 식성 인천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참홍어의 식성을 분석하기 위해 2017년 2월부터 2018월 3월까지 총 203개체를 채집하였다. 참홍어의 체반장은 31.1~77.7 cm의 범위였으며, 16개체는 공복상태였다. 참홍어는 주로 어류와 새우류를 섭식하는 육식성 어류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 다양한 저서 갑각류와 무척추동물을 소량 섭식하였다.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새우류인 마루자주새우의 섭식비율이 가장 높았고, 어류는 까나리의 섭식비율이 높았다. 참홍어의 체장이 커질수록 새우류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어류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평균 먹이생물의 개체수와 중량은 증가하였다. 정경숙,박준,손명호,이형빈,한송헌,조현수,김맹진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진해만과 진주만에서 새우조망으로 어획된 수산자원의 계절변동 진해만과 진주만에서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2010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4회의 어업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기간 동안, 진해만에서는 총 116종이 어획되었고, 그 중 어류가 62종, 갑각류가 24종을 차지하였다. 진주만에서는 총 105종이 분류되었고, 그 중 어류가 56종, 갑각류가 31종 조사되었다. 진해만에서는 등가시치, 마루자주새우, 갯가재가 우점하였고, 진주만에서는 마루자주새우, 주둥치, 두점박이민꽃게 순으로 우점하였다. SOM을 이용한 군집유형화 결과, 진해만과 진주만의 군집구성이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그룹1에 묶여진 진주만 조사정점들은 민새우, 대하 등 갑각류와 주둥치 쥐노래미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4월 조사는 해역에 상관없이 모든 정점이 그룹2에 묶였는데 마루자주새우, 검은띠불가사리, 꼼치 등의 밀도가 높았다. 그룹3에 묶여진 진주만의 6월 조사정점들은 두점박이민꽃게를 포함한 다양한 갑각류와 도다리, 돛양태, 쉬쉬망둑 등의 다양한 어류가 우점하였다. 그룹4에 묶인 진해만의 6월~11월 조사정점에서는 등가시치, 흰베도라치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우점종인 마루자주새우는 6월까지 포란개체가 많이 어획되었고, 등가시치와 주둥치는 조사기간 동안 대부분 소형개체가 출현하였다. 이는 본 해역이 수산생물의 산란장 및 성육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송미영,김주일,김성태,이종희,이재봉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의 식성 이번 연구는 서해에 서식하는 물가자미의 식성 및 섭이 특성을 밝히기 위해 419마리 중 공위를 제외한 125개체를 분석하였다. 물가자미의 주 먹이생물은 새우류와 어류로 나타났으며, 새우류 중에서는 마루자주새우가, 어류에서는 멸치와 까나리를 가장 많이 섭식하였다. 계절적으로는 서식해역에 풍부한 먹이생물을 주 먹이생물로 섭식하는 기회주의적 섭식자로 나타났으며, 체장이 커질수록 먹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새우류에서 어류로 주 먹이생물을 변화시켰다. 최동혁,윤병일,이수정,한경호,권대현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식성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식성을 알아보기 위해 총 158개체의 붕장어를 분석하였으며, 채집된 붕장어의 항문장(Preanal length)은 8.2~40.1 cm (±17.3 cm)의 범위를 보였다. 공복률은 30.4%를 보였으며, 위내용물이 발견된 붕장어는 110개체였다. 총 21개의 먹이생물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4개는 과까지, 1개는 속까지, 16개는 종까지 분류되었다. 붕장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54.4%의 상대중요도 지수비(%IRI)를 나타낸 어류(Pisces)였다. 어류 중에서도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우점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Macrura)로 39.6%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차지하였고, 새우류 중에서는 마루자주새우(Crangon hakodatei)가 가장 우점하였다. 붕장어의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 변화를 분석한 결과, 성장함에 따라 새우류의 섭식비율은 감소하였고 어류의 섭식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개체당 평균 먹이생물의 중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강다연,김도균,성기창,진수연,정재묵,강수경,백근욱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860건, 1/17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00140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
      대한민국 전라북도 2010-11-02
      MABIK CR000014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
      대한민국 전라북도 2010-11-02
      MABIK CR0000140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
      대한민국 전라북도 2010-11-02
      MABIK CR0000140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
      대한민국 전라북도 2010-11-02
      MABIK CR0000140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
      대한민국 전라북도 2010-11-02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