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두가시연후이끼벌레Crassimarginatella kumatae (Okada, 1923)
보통개충은 그 모양이 군체의 중심 쪽으로 땅딸막한 모양으로부터 다소 갸름한 모양이며 바깥쪽으로 가면 에 더 길고 더 길쭉한 모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개충들은 서로 인접해 있으며 규칙적인 다섯 눈 모양으로 배열한다. 개충 사이의 경계는 얕은 홈과 같은 가는 선으로 보인다. 나벽은 매끄럽고 아래쪽이 적당히 발달하고 옆에는 좁고 위쪽은 더 좁다. 은벽은 좁고, 오돌토돌하며 복벽개구 주위에 너비가 같다. 군체의 가장자리에 있는 개충은 가시가 없다. 충실구 가시를 가진 일부 개충은 은벽의 바로 아래 나벽에 하나의 중앙 가시가 있다. 조두체는 대리조두체이며 보통개충의 1/2보다 작고 주위에 4개의 보통개충으로 둘러싸인다. 조두체의 아래쪽 은벽은 오돌토돌하다. 난실은 딸개충에 얹혀 있으며(hyperstomial) 외난실은 대부분 막성이지만 주변에 좁은 석회성 띠가 있다.
[1]
일본
[1]
남해, 서해
[1]
출처
[1]. 해양태형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태형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참고문헌
1. Min BS, Seo JI, Grischenko AV, Lee SK, Gordon DP, 2017. Systematics of some calloporid and lacernid Cheilostomata (Bryozoa) from coastal South Korean waters, with the description of new taxa. Zootaxa 4226 (4): 471–486.
NCBI (Crassimarginatella kumata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