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둥근매미새우Crenarctus bicuspidatus (de Man, 1905)
갑각(그림 26A, B)의 등면과 옆면의 마루는 분명한 비늘모양의 돌기로 덮여 있고, 이마뿔뒷앞마루는 작은 이마뿔가시와 큰 위앞가시가 있고, 위가시는 1쌍의 큰 돌기가 대신하며, 이마뿔뒷뒷마루의 염통가시는 앞쪽으로 2개로 갈라진 돌기로 되어 있고, 아가미앞마루는 앞쪽으로 2개의 분명한 가시로 끝나고, 아가미뒷마루는 앞쪽으로 뭉툭한 가시로 끝나고, 등중앙옆앞마루에는 2~7개의 낮고 편평한 돌기가 있으며, 등중앙옆뒷마루에는 5~7개의 불규칙한 돌기들이 뭉쳐져 있고, 중간열은 4개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중간마루는 1개의 큰 돌기와 5~9개의 작은 돌기로 구성된 다발이 있고, 옆가장자리에는 앞옆의 날카로운 가시의 뒤로 3, 4개의 분명하지 않은 가시가 있고 3개의 불분명한 옆중앙가시가 있으며 9개의 옆뒷가시가 2줄로 나 있고, 이마뿔뒷돌기는 있다. 배마디(그림 26A, B)에는 등중앙마루가 없고, 좁고 깊은 홈으로 된 나뭇가지 문형이 있고, 제1배마디의 등과 옆면에는 완전한 가로홈이 있고, 2~6배마디에는 각각 이빨모양의 가로홈이 있으며 이들의 중앙에는 긴 잎모양의 그림이 있으며, 제1~4배마디의 뒷가장자리에는 각각 깊은 중앙패임이 있고, 제1배마디의 옆갑은 짧고 2개의 잎으로 나누어지고, 제2배마디의 옆갑은 뭉툭하게 끝나며, 제3, 4배마디의 옆갑은 각각 뒷밑쪽으로 뾰족하며, 제5배마디의 옆갑은 넓게 각이 지거나 둥글다. 꼬리마디(그림 26A)의 단단한 부분의 뒷가장자리에는 2쌍의 이가 있다. 작은더듬이마디(그림 26A)의 앞가장자리는 4개의 둥근 이가 있다. 더듬이(그림 26A, C)는 전체적으로 다소 직사각형에 가깝고, 제6마디의 끝가장자리에는 5개의 이와 안가장자리에 2개의 이가 있고, 제5마디의 중앙끝모서리에는 날카로운 이가 있으며 등마루도 있고, 제4마디에는 뚜렷한 중앙마루가 있고 앞가장자리에 4, 5개의 이가 있으며 이 중에서 안쪽 2번째 것이 가장 크고 옆가장자리에 끝부분 이를 포함하여 3, 4개의 이가 있으며 끝부분 이는 종종 2개의 부가적인 이를 가진다. 제1가슴다리는 가장 강건하고, 제2가슴다리의 발가락마디는 가슴다리 중에서 가장 길다(그림 27A~E). 가슴다리의 긴마디에는 각각 2개의 털홈이 있다. 제3, 4가슴다리의 앞마디는 편평하지 않고, 제3가슴다리의 앞마디~긴마디와 제4가슴다리의 발목마디와 긴마디는 등가장자리에 털이 나 있고, 이들의 앞마디와 긴마디에는 각각 2개의 털홈이 있으며, 발목마디는 각각 1개의 털홈이 있다. 제5가슴다리는 가장 가늘고, 암컷에서 불완전집게를 가지나 수컷에서는 없으며, 긴마디에는 1개의 털홈이 있다. 가슴판(그림 26C)의 앞부분은 합입되었고, U자형이며, 가운데 부분에 깊은 틈이 있으며, 중앙틈은 뒤쪽으로 2개의 융기에 의해 갈라진 홈으로 연결되고, 이들 융기는 각각 앞옆가시를 넘어서 뭉툭한 가시로 끝난다
이 종은 수심 2~108m 사이에 서식하며 대부분 26~65m에서 발견된다. 한국해역에서는 주로 남해 및 제주에서 발견된다.
[1]
갑각의 등면과 옆면은 비늘 모양의 돌기로 덮여 있다. 이마뿔이 있으며, 위가시는 위앞가시의 뒷가장자리에서 2개의 돌기로 되어 있다. 배마디에는 나뭇가지 모양의 홈이 있고 옆갑 아랫가장 자리는 둥글다. 더듬이의 4번째마디의 윗 표면에는 비스듬한 융기선이 있다. (Kim, 2013 편집 인용)
[2]
인도-서태평양: 일본, 인도네시아, 뉴칼레도니아, 베트남~마다가스카르, 남아프리카 2~108m, 대만
경남, 제주.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3].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참고문헌
1. (원기재) (of Arctus bicuspidatus de Man, 1905) de Man, J. G. (1905). Diagnoses of new species of macrurous decapod Crustacea from the "Siboga-Expedition". Tijdschrift der Nederlandsche Dierkundige Vereeniging. 9: 587-614.
2. (2) Jung Nyun Kim1,*, Jung Hwa Choi2, Jeong-Hoon Lee1, Joo Il Kim1(2013) Descriptions of Five Species of Scyllarine Lobsters(Crustacea, Decapoda, Scyllaridae) in Korea. Anim. Syst. Evol. Divers. Vol. 29, No. 2: 115-128.
3. (3) 대한민국생물지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21권 29호 새우류 III 절지동물문: 연갑강: 십각목: 창새우과, 젓새우과, 청소새우과, 돗대기새우과, 끄덕새우과, 뿔눈새우과, 가시발새우과, 닭새우과, 매미새우과. 환경부/국립생물자원관.
4. (4) CHIEN-HUI YANG1, CHIA-WEI LIN2, 3 & TIN-YAM CHAN (2014) Additional slipper lobsters of the subfamily Scyllarinae Latreille, 1825 (Crustacea, Achelata, Scyllaridae) from Taiwan. Zootaxa 3852 (3): 336–346
NCBI (Crenarctus bicuspidat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