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빗살판불가사리

빗살판불가사리Ctenodiscus crispatus (Bruzelius, 1805)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Echinodermata극피동물문 > Asteroidea불가사리강 > Paxillosida소주목 > Ctenodiscidae빗살판불가사리과 > Ctenodiscus빗살판불가사리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은 일반적으로 별 모양에 가까운 5각형 또는 별 모양으로 다양하다. 반은 넓고 얇으며, 반의 중앙에는 1개의 높은 원추상 돌기가 있다.
        구판 사이에 있는 섬모성 통로에 의해 운반되는 진흙으로 위를 가득 채워 섭식 활동을 하며 살아가서 진흙불가사리라고 불리운다. 부유성 유생단계가 없이 3년에 걸쳐 성체 크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극과 남극 등 냉수 해역에 널리 사는 극지방 종으로 북태평양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1]

    •   천해와 심해의 모래 진흙 바닥에 산다.
      [2]

    •   몸은 별 모양이고 반은 넓고 중앙에 한 개의 원추상 돌기가 있다. 배면은 낮고 작은 소주체로 덮여 있으며, 복면은 부드럽고 편평하며 모서리가 둥근 판으로 덮여 있다.
      [2]

    •   북태평양(동해-베링해-알래스카-캘리포니아-파나마), 그린랜드, 북아메리카 동부
      [1]

    •   강원, 경북
      [1]

    • 출처

      [1].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3].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32권1호 불가사리류. 신숙, 2010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11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89건, 1/38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IV0000026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빗살판불가사리
      Ctenodiscus crispatus
      대한민국 2011-05-24
      MABIK IV0000026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빗살판불가사리
      Ctenodiscus crispatus
      대한민국 2011-05-24
      MABIK IV0000030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빗살판불가사리
      Ctenodiscus crispatus
      대한민국 2011-05-05
      MABIK IV0000030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빗살판불가사리
      Ctenodiscus crispatus
      대한민국 2011-04-28
      MABIK IV0000045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빗살판불가사리
      Ctenodiscus crispatus
      대한민국 2011-12-06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