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차양부채게Neoxanthops truncatus (De Haan, 1837)
갑각은 부채모양이고 너비가 길이의 1.5배보다 길다. 등면은 매끈하고 조금 볼록하며 구역은 비 교적 뚜렷하다. 이마는 좁고 강하게 돌출되었으며 가장자리는 가운데 작은 홈에 의해 약하게 2엽이다. 앞옆가장자리는 눈구역 바깥쪽 모서리 뒤로 5개의 삼각형 이빨들로 나뉘어지고 첫번째와 두번째 이빨이 가장 작다. 집게다리는 크고 매끈하며 크기가 현저하게 다르다. 큰 집게다리의 발목마디는 크다. 손바닥 의 바깥면에는 세로의 홈이 있다. 손가락은 크고 길며 끝은 뾰족하다. 걷는다리는 비교적 짧고 튼튼하며 긴마디는 앞뒤가장자리에 긴 강모가 있다. 발목마디와 긴마디의 뒷가장자리에 강모가 있고 발가락마디 는 길고 짧은 강모로 덮여 있다. 수컷의 복부는 비교적 좁고 길며 제 3~5복부마디가 융합되어 있고 제6 복부마디는 양옆이 오목하다. 제1생식지는 가늘고 길며 먼 쪽으로 굽어 있고 끝은 안쪽으로 90°굽어 있 다. 제2생식지는 짧다. CL 15 mm, CW 22 mm. 조하대의 돌 아래 또는 바위 틈에 서식한다.
조하대 자갈 밑에서 주로 서식한다.
[1]
갑각은 가로로 타원형이다. 이마뿔은 두 갈래로 나눠져 있고 갑각의 앞 부분 보다 많이 튀어나와 있다. 앞옆가장자리에는 5개의 잎이 있다. 집게다리는 약간 비대칭이다. 걷는 다리는 다소 짧고 털이 없다.
[2]
일본
제주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3].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4].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참고문헌
대한민국생물지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21권 22호 게류와 조에아 유생 II, 절지동물문: 연갑강: 십각목: 단미하목: 성산부채게상과, 애기털보부채게상과, 부채게상과
NCBI (Neoxanthops truncatus)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