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염생식물을 이용한 항만 녹색공간 창출기법에 관한 연구 항만생태계 녹색공간 창출을 위해 우리나라 항만에 분포하는 식물상특성, 환경요인분석, 항만유형분석, 적합종, 최소보존면적산출을 통해 식재모식도를 작성하였다. 50개 조사지역에서 44과 174종의 관속식물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염생식물은 19과 48종이 분포하였다. 우점군락은 통보리사초, 갯그령, 좀보리사초, 갯씀바귀, 순비기나무, 갯메꽃, 해당화, 갯완두, 솔장다리, 우산잔디, 번행초, 칠면초, 해홍나물, 갯잔디, 갈대를 포함하여 15개 군락이 분포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결과 Clay marsh, Sand marsh, Sand gravel marsh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생육지 유형별 적합종으로 clay marsh는 칠면초, 갈대, 갯잔디, 해홍나물 sand marsh는 갯그령, 갯씀바귀,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sand gravel marsh는 갯메꽃, 순비기나무가 선정되었다. 적합종에 대한 최소보전면적을 산출하고 항만생태계 세부 유형별로 가이드라인과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명현호,이점숙,전지영,송만순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상세보기 제주도 도순천·악근천 하구해안의 식생과 멸종위기종 II급 솔잎란(Psilotum nudum) 서식지 특성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도순천·악근천 하구해안의 식물상 및 식생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관속식물은 94과 249속 313종 37변종 3품종 2아종의 총 355종류가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15과 27속 30종 1변종으로 31종류가 조사되었다. Numata식의 생활형에서는 반지중식물(H)이 77종 21.75%,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단립식물(R5)이 200종 56.34%,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D4)이 161종 45.35%로 구성비율이 가장 높았다. Raunkiaer의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지표식물(ch), 1년생식물( Th)은 한반도 보다 높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나 반지중식물(H)은 낮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3종(식재종 1종포함), IV등급 2종, III등급 17종, II등급 2종, I등급 32종의 총 57종류가 자란다. 법적보호식물은 멸종위기종 II급인 솔잎란이 도순천 하구 암벽에 25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콩짜개덩굴, 마삭줄, 석위 등과 혼생하고 있다. 식생의 특징은 하구의 암벽식생, 해안암벽식생, 사구식생, 하천의 하도식생, 전이지역 식생의 5개 식생유형과 곰솔군락, 보리밥나무군락, 순비기나무군락, 돌가시나무군락, 돌가시나무-상동나무군락, 상동나무군락, 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 송악군락, 갯완두군락, 우산잔디군락, 천일사초군락, 번행초군락, 팽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콩짜개덩굴군락, 겨이삭군락, 석창포군락, 버들참빗군락의 총 17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최영은,,김정문,,김창환,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상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