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우산잔디

우산잔디Cynodon dactylon (L.) Pers., 1805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2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Angiospermae피자식물문 > Monocotyledoneae단자엽식물강 > Cyperales사초목 > Poaceae화본과 > Cynodon우산잔디속 >
  • 종설명(Description)

    •   여러해살이풀로서 원줄기는 땅 위로 뻗으며, 중간에 가지를 만들고 마디에서 뿌리가 나고 줄기는 곧추 선다. 체장은 40cm까지 자라며, 잎은 3-8cm 정도로 잎의 혀 부분에 긴 털이 난다. 가지는 작은 이삭이 2줄로 빽빽하게 달리며, 작은 이삭은 1개의 양성꽃으로 이루어진다. 꽃은 3-6개의 가지가 길이 3-5cm의 장상꽃차례를 만들고 있다. 다년생 염생식물이고 꽃은 6월-8월에 핀다.

    •   줄기는 땅 위로 뻗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선형이고 잎혀는 털로 되어 있으며 꽃은 6~8월에 피는데 3~6개의 가지 (총, 總)가 손바닥모양 꽃차례를 이룬다. 가지는 작은 이삭이 2줄로 빽빽하게 달리며, 작은 이삭은 1개의 양성꽃으로 이루어진다.
        우산잔디라는 이름은 꽃이삭의 가지가 우산처럼 사방으로 퍼지고 잔디같이 생긴데서 유래한다.

    •   한반도 동해안을 따라서 강원도 낙산사까지 지생하고 있으며, 경작지 주변이나 해안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해안사구에서 관찰되며, 재생력이 강하고 병충해가 적다.

    •   서해안(인천, 전북, 전남), 동해안[1](경북), 제주

    •   열대와 난대

    • 참고문헌

      [1].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2]. 한국의 염생식물. 자연과 생태
      [3]. 위키백과
      [4].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국립생물자원관
      [5]. 한국잡초학회(http://www.ksws.kr/home/library/db/?mod=document&uid=580)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3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3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염생식물을 이용한 항만 녹색공간 창출기법에 관한 연구 항만생태계 녹색공간 창출을 위해 우리나라 항만에 분포하는 식물상특성, 환경요인분석, 항만유형분석, 적합종, 최소보존면적산출을 통해 식재모식도를 작성하였다. 50개 조사지역에서 44과 174종의 관속식물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염생식물은 19과 48종이 분포하였다. 우점군락은 통보리사초, 갯그령, 좀보리사초, 갯씀바귀, 순비기나무, 갯메꽃, 해당화, 갯완두, 솔장다리, 우산잔디, 번행초, 칠면초, 해홍나물, 갯잔디, 갈대를 포함하여 15개 군락이 분포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결과 Clay marsh, Sand marsh, Sand gravel marsh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생육지 유형별 적합종으로 clay marsh는 칠면초, 갈대, 갯잔디, 해홍나물 sand marsh는 갯그령, 갯씀바귀,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sand gravel marsh는 갯메꽃, 순비기나무가 선정되었다. 적합종에 대한 최소보전면적을 산출하고 항만생태계 세부 유형별로 가이드라인과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명현호,이점숙,전지영,송만순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상세보기
        제주도 도순천·악근천 하구해안의 식생과 멸종위기종 II급 솔잎란(Psilotum nudum) 서식지 특성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도순천·악근천 하구해안의 식물상 및 식생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관속식물은 94과 249속 313종 37변종 3품종 2아종의 총 355종류가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15과 27속 30종 1변종으로 31종류가 조사되었다. Numata식의 생활형에서는 반지중식물(H)이 77종 21.75%,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단립식물(R5)이 200종 56.34%,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D4)이 161종 45.35%로 구성비율이 가장 높았다. Raunkiaer의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지표식물(ch), 1년생식물( Th)은 한반도 보다 높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으나 반지중식물(H)은 낮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3종(식재종 1종포함), IV등급 2종, III등급 17종, II등급 2종, I등급 32종의 총 57종류가 자란다. 법적보호식물은 멸종위기종 II급인 솔잎란이 도순천 하구 암벽에 25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콩짜개덩굴, 마삭줄, 석위 등과 혼생하고 있다. 식생의 특징은 하구의 암벽식생, 해안암벽식생, 사구식생, 하천의 하도식생, 전이지역 식생의 5개 식생유형과 곰솔군락, 보리밥나무군락, 순비기나무군락, 돌가시나무군락, 돌가시나무-상동나무군락, 상동나무군락, 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 송악군락, 갯완두군락, 우산잔디군락, 천일사초군락, 번행초군락, 팽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콩짜개덩굴군락, 겨이삭군락, 석창포군락, 버들참빗군락의 총 17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최영은,,김정문,,김창환,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42건, 1/9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TP0000122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우산잔디
      Cynodon dactylon
      대한민국 2013-08-27
      MABIK TP0000122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우산잔디
      Cynodon dactylon
      대한민국 2013-08-27
      MABIK TP0000122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우산잔디
      Cynodon dactylon
      대한민국 2013-08-27
      MABIK TP0000122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우산잔디
      Cynodon dactylon
      대한민국 2013-08-27
      MABIK TP0000122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우산잔디
      Cynodon dactylon
      대한민국 2013-08-2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