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민자루다홍풀Dasysiphonia sessilis (Yamada) M.M.Cassidy, C.W.Schneider & G.W.Saunders 2022
엽상체는 직립하여 단독으로 나고, 색상은 자홍색이다. 크기는 높이 7~12cm, 폭 1~1.5mm이며, 산방화 모양이다. 생장축이 연이어 바뀌어 자라며, 매 주축세포마다 나선상으로 무한 혹은 유한생장지와 피층세포에서 발달하는 부정지성 가측지가 다수 발달한다. 원반형태의 부착기를 만들어 암반에 붙어 서식한다. 주축은 다관으로 구성되며, 정단부를 제외하고는 완벽하게 피층으로 덮이고, 각 세포마다 5개의 주심세포를 원을 그리는 순서로 형성하나, 성숙하면 가근성 내피층 세포가 형성되어 위-유조직성 체제로 발달한다. 사분포자낭은 구형이며, 직경 30~35μm 크기이고, 덮개 세포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싸진다. 방추형으로 분열하고, 생식마디당 4~5개가 형성된다. 생태적 특징은 국내 전 연안에서 여름부터 가을까지 조간대 하부 및 조하대 상부에서 발견된다.
조간대 하부 및 조하대 상부암반에 부착하여 서식한다.
[1]
식물체는 자홍색이고 단독으로 나고, 체장은 7~12cm이고 직립한다. 원반상 흡반체로 압반에 부착하고 주축은 다관으로 구성되며, 정단부를 제외하고는 완벽하게 피층으로 덮여 있으며, 각 세포마다 5개의 주심세포를 가진다. 우리나라 연안에서 여름부터 가을까지 조간대 하부 및 조하대 상부에서 흔히 채집된다.(Choi et al., 2016 편집 인용)
[2]
아시아(일본, 중국). 최근 지중해, 유럽 대서양 연안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외래종으로 보고되었다.
전 연안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3].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참고문헌
Yamada, Y. (1928). Report on the biological survey of Mutsu Bay, 9. Marine algae of Mutsu Bay and adjacent waters. II. Scientific Reports of the Tôhoku Imperial University, Biology 3: 497-534, 25 figs. (2)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2 | 3 | 2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3 | 3 | 3 | 3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3 | 3 | 3 | 3 |
NCBI (Dasysiphonia sessili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