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관목나무돌산호Dendrophyllia arbuscula van der Horst, 1922
산호체는 군체형 또는 단체형, 부착형이다. 군체는 관목형이고, 너비 70~75 mm, 높이 55~63 mm 이다. 군체는 모든 방향으로 1~2회 드물게 분지한다. 산호체는 원통형이고, 악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축산호협의 악부는 직경이 10~12 mm이며, 측산호협의 악부는 5.5~9 mm 이다. 격벽은 6방사형 4~5환열 이내의 포탈레스 배열이고, 5차 격벽은 드물다. 1차 격벽은 가장자리가 매끄럽고 약간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환열의 격벽보다 크고 과립돌기로 덮여 있다. 2차 격벽은 협구에서 1차 격벽보다 좀 더 짧다. 3차 격벽은 2차 격벽의 절반 정도의 폭으로 매우 작으며,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갖는 4차 격벽과 연합한다. 4차 격벽 또는 외측 5차 격벽이 축주에 도달한다. 협벽은 늑조골과 간늑조골로 형성된 연접협벽이다. 늑조골은 과립상 돌기가 열을 지어 발달하고, 간늑조골은 다공성이다. 축주는 돌출하여 발달하며, 타원형의 해면상이다.
체부는 주홍색, 구부와 촉수는 연한 황색, 골격은 백색이다. 수심 20~30 m(국외 수심 2~353m)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제주도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참고문헌
[1] Horst CJ van der. 1922. The Madreporaria of the Siboga Expedition, Part III: Madreporaria Eupsammidae. Siboga-Expeditie. 16c: 45-75, pls. 7-8.
[2] Song JI. 1991. A systematic study on the Korean Anthozoa. 12. Order Scleractinia. Korean J. Syst. Zool., 7(1): 127-150.
[3] 송준임. 2004. 한국동식물도감: 제39권, 동물편(산호충류). 서울: 대한교과서.
NCBI (Dendrophyllia arbuscul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